학술논문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이용수 62
- 영문명
- A Review of Conversation Strategies for Effective University Writ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곽수범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313~34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분야 중 가장 활발한 영역은 글쓰기 지도 방안으로,2005-2011년까지의 연구가 대체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정체성과 목표,계열별 글쓰기에 관한 논의가 중심축을 이루었다면,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다양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양상을 보인다.대학 글쓰기 지도 방안의 체계성과구체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여전히 긴요하다.평가 준거나 피드백 체계를 제시하더라도 실제로 학습자를 앞에 두고 어떠한 방식으로 시행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글쓰기 피드백을 위한 면담 과정에서 사용하는 주요 대화 전략을 종합하고 체계성을 부여하여 분류하였다.이 연구는 관찰,면담,문서분석 위주의 일반 질적 연구로 분류할 수 있으며,대화 전략을 인지적 대화와 정의적대화로 구분하여 추려내었다.앞으로도 글쓰기 지도 절차와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most active area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research from 2005 to 2017 was writing guidance. Research published from 2005 to 2011 focused mainly on the identity and goal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included discussions on writing in the disciplines. Since 2013, there has been a trend of assessing various writing approaches. Nevertheless, efforts to ensure systematicity and specificity of university writing instruction are still required. This is because it remains unclear how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can be implemented effectively in classroom settings, even though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ools such as assessment criteria or a feedback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ypes of conversation strategies used in writing conferences were synthesized and classified. This study used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ethnographic data collection involving classroom observations,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The types of conversation strategi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strategies.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분석 및 연구 결과
4. 논의 및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