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이용수 15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Me’ and Educational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philosophy of Lévinas and Ricoeur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전종윤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371~40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 채택한 연구방법론은 교사-학생 사이의 교육적 관계를 타인-나 사이의윤리적 관계로 대체하는 데 있다.이는 윤리적 관계가 교육적 관계보다 더 근본적이라는 견해에서 비롯된다.한편,타인-나의 관계는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윤리적 관점에기반을 둔다.이러한 윤리로부터 도덕적·윤리적인 주체는 타인과 세계에 대한 자신의관점을 확립할 수 있다.다른 한편,이러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관계는 교육적 실천, 특히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에 유용하게 적용된다.그러므로 이 연구가 이바지한바는 이중적이다.레비나스와 리쾨르의 ‘타인-나’의 철학을 비교 분석했다는 측면과윤리적 관계와 교육적 관계 사이의 철학적 화해를 시도했다는 측면이 그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윤리적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를 통해 새로운 교육적 관계를 도출하고 제안하는 것이었다.그 결과물로 레비나스 철학에 기초한 타자의 교육학과 리쾨르의 철학에 기댄 상호인정의 교육학을 제안하였다.한편,타자의 교육학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강조했다.1° 교사-학생 관계의 이중 비대칭성,2°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3° 가능성 교육으로서의 타자의 교육학.이런 세 요소를 통해 레비나스의 교육학의 특징을 논했다.다른 한편,상호인정의 교육학에서 역시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1° 자기 긍정과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2° 배려와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 3° 상호인정과 교육적 관계.이 세 가지 테마는 리쾨르 교육학을 대표하는 요소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in this article is to replace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ith ethical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This stems from the view that ethical relationships are more fundamental than educational relationships. First, my relationship with others is based on a personal and collective ethical perspective. From this ethics, moral and ethical subjects can establish their own views on others and the world. Second, this ethical and philosophical relationship is useful in educational practice, especially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wofold. It is the aspect of comparative analysis of Lévinas and Ricoeur’s philosophy of ‘others-me’ and the aspect of attempting philosophical reconciliation between ethical and educational relation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nd propose a new educational relationship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ethical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others based on Lévinas’ philosophy and the education of mutual recognition based on Ricoeur’s philosophy were proposed. First, in the pedagogy of others, three themes were emphasized. 1° Double asymmetr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2°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subjugation. 3° Pedagogy of the other as possibility education. Through these three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Lévinas’ pedagogy were discussed. Second, the pedagogy of mutual recognition also dealt with three topics. 1° Self-affirmation and the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 2° Caring and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s. 3° Mutual Recognition and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se three themes are elements that represent Ricoeur’s pedagog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타인과 나의 윤리적 관계
3. 레비나스와 리쾨르의 철학에서 타인에 대한 염려
4. 타인과 나(또는 자기)의 관계 문제
5. 레비나스와 리쾨르 철학에서 교육적 관계
6.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