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몸으로 사유하기
이용수 57
- 영문명
- Thinking With Your Own Body: A Book Review of Wonderlust: A History of Walking by Rebecca Solni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배은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461~4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최근 어떤 물질적 보상이 있어야만 걷는 우리 사회에 문제를 느끼고, 걷기의 정신적 가치를 환기하기 위해 리베카 솔닛의 『걷기의 인문학』을 비평한 것이다. 이 책은 보행에 관한 철학, 문학, 문화, 공간 등 방대한 지식과 깊이 있는 사유를 개성적 문체로 서술한 교양서이다. 저자의 걷기 체험을 바탕으로 보행 그 자체에 주목하여 인류의 역사를 성찰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가치가 있다. 또 걷기의 보편성과 저항성을 통찰하여 걷기가 문화적, 정치적 현상임을 논증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걷지 못하는 자들에 대한 문제를 여성 인권의 관점에서만 제기한 한계가 있다. 인간은 존재하기 위해 걷고, 걸으며 사유하기에 걷지 않는 사회는 위험하다. 세상을 기웃거리며 자기 마음을 살피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awaken the spiritual value of walking, conscious of the problem in our society we walk only when there is some material reward, this article reviews Wonderlust: A History of Walking written by Rebecca Solnit. The book is a liberal arts book that describes a vast knowledge of philosophy, literature, culture, space, etc and deep thoughts about walking in a unique style. It is of unrivaled value in that she reflected on the history of mankind by paying attention to walking itself, based on the author’s walking experienc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argue that walking is a cultural and political phenomenon by insight into the universality and resistance of walking. However, it is a limitation to raise the issue of those who cannot walk only in terms of women’s rights. Humans walk to exist and think while walking, so a society that people do not walk is dangerous. This book will be a good guide to those who take a curious look around and have a desire to read their own minds.
목차
1. 걸음의 가치
2. 리베카 솔닛이 몸으로 쓴 ‘보행의 역사’
3. ‘보편적 걷기’에서 배제된 자들
4. 만인의 인문학을 위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