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이용수 489
- 영문명
- Analysis of Writing in General-Purpose Korean Textbooks: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Genr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염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169~20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3종을 선정하여 쓰기 교수요목,장르 지식,숙달도별 쓰기 장르 유형 세 가지 기준으로 요즘 한국어교재에서 쓰기 장르 교육 현황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우선,A,B,C교재에서 쓰기 장르 교육 현황이 매우 상이할 뿐만 아니라 교재에서 쓰기 장르에 대한 정보 제공도 부족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하지만 한편으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장르 유형은이미혜(2013)에서 제시한 결과에 비해 더 다양하게 나타났고 요즘 일상생활에서 많이활용되는 인터넷 게시판 글,블로그,문자 메시지 등 쓰기 미시 장르 유형도 교재에서많이 제시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숙달도에 따라 쓰기 장르 유형이 한국어 교재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양상도 동시에 확인되었다. 앞으로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을 잘 이룰수 있도록 추후 과제로 쓰기 교수요목과 장르 지식을 어떻게 제시하고 숙달도별 쓰기장르 유형을 어떻게 배열하는지에 대한 깊은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lected three Korean textbooks for general-purpose learner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gen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writing syllabus, genre knowledge, and genre type by proficiency in these Korean text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genre education in textbooks A, B, and C was very different, and the information on writing genre provided in these textbooks was inadequate. However, the genre types in Korean textbooks in current use were more diverse than reported by Lee Mi-hye (2013). Moreover, genre types such as Internet bulletin boards, blogs, and text messages that are widely used in contemporary everyday life have also been presented in textbooks. Neverthel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re types were not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proficiency. As a future task, deep discussions of how to present writing syllabus and genre knowledge in textbooks and arrange writing genre types by proficiency should be made first so that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Korean textbooks for general-purpose learner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 대상 및 분석 기준
4. 교재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