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143
- 영문명
- A Study of Educational Methods for Determining the Topic of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KWL Model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채린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233~2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KWL모형을 이용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이를 위하여 우선 주제 정하기 교육 방법및KWL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KWLC’라는 확장된 모형을 제시하였다.제안한모형을 2022년 1학기와 2022년 2학기의 대학 글쓰기 수업 3학급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첫째,KWLC모형은 비판적 사고를 통해 읽기와 쓰기를 수월하게 만들었다.둘째,C단계에 쓴 내용은주제를 도출해 내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셋째,C단계를 통하여 ‘지식의 차이’,‘생각의 차이’뿐만 아니라 ‘대상의 차이’에도 주목하는 방향으로 사고가 발전되어,주어진 텍스트의 주제를 벗어난,확장된 주제를 생각해 낼 수 있게 하였다.넷째, KWLC는 구체적이고 창의적인 주제를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비판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통하여 자신만의 관점으로 주제를 구체화하는 데에 본고의KWLC수업 모형이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educ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topic of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using the KWL(Know-Want-Learn) model. To this end, an expanded model called KWLC(Know-Want-Learn-Compare)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subject-determining teaching method and previous relevant studies.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three classes of college writing in the spring and fall semesters of 2022,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KWLC model made reading and writing easier through critical thinking. Second, the contents written in stage C played a decisive role in deriving the topic. Third, through stage C, thinking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paying attention not only to the “gap in knowledge” and “gap in thinking” but also to the “gap in objects,” enabling the reader to develop an extended theme beyond the subject of the given text. Fourth, KWLC was helpful in deriving specific and creative themes. It is expected that the KWLC instructional model of this study can be actively used to help the student realize the subject from their own perspective through critical and integrative think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KWL’ 변형 모형을 적용한 수업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