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이용수 10
- 영문명
- Review of
and Comparison of Different Versions(異本)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안영 이수진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345~36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청림도사 지지가(靑林道士 知止歌)》 서책에 수록된 6편의 가사 작품 중 하나인<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소개와 그 이본 작품들을 비교한 것이다. <퇴계선생환리가>는 교훈가사의 일종으로,천지만물 가운데 가장 귀한 것이 바로 인간임을 자각하고,나를 낳아주신 부모님의 은혜를 늘 잊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을 담고있다.사람됨의 도리를 꾸준히 실천하기 위해 삼강(三綱)이나 오륜(五倫)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다른 사람들에게도 널리 착한 행실을 권해 덕을 쌓도록 강조하고 있다. <퇴계선생환리가>는 동일한 서사 과정을 보이는 이본 계열의 작품이 여러 편 확인된다.한국가사문학관에 소장된<이율곡선생 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퇴계선생권선가(退溪先生勸善歌)>,<권선가(勸善歌)>3종이 그것이다.작품의 구성은 이본 간에 전반적으로 유사하지만 표기법에 따른 차이,어구나 어휘의 누락 내지는 오기가 다수 확인된다.무엇보다도 이들 이본 자료를 살피면서 주목되는 지점은 작품명과 작자문제에 있다.<퇴계선생환리가>나<이율곡선생권선가>,<퇴계선생권선가>등 ‘퇴계’, ‘율곡’이라는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두 사상가의 이름을 제목으로 삼고 있어서 작품의 원저자를 각기 다른 인물로 특정케 한다는 점이다.이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조선후기 가사의 유통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다.본고는<퇴계선생환리가>를 통해 이러한 가사작품의 저작의도 등을 살펴 그 자료적 가치까지 논의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the introduction of , one of the six lyric works included in the book 《Cheongrimdosa Jijiga(靑林道 士 知止歌)》 and examined its varlants. is an example of instructive lyrics, stating that we should never forget the grace of our parents who gave birth to us, realizing that humans are the most precious of all things. In order to steadily practice the principles of being human, the Three kang(三綱) or the five principles(五倫) are actively recommended, and it is emphasized that others are encouraged to do good deeds and build up virtue. has several different versions showing illustrating the same narrative process. These are the three pieces of , and , which are housed in the Korean Gasa Literature Museum. The composition of the work is generally similar between the different versions,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notation and omissions or typos in phrases or vocabulary. Above all, the point of attention while examining these different versions is the issue of the title of the work and the author. , , and , etc. are titled after the names of two thinkers who represent Joseon Neo-Confucianism, ‘Toegye’ and ‘Yulgok’, so the original authors of the works are identified as different persons. that it does. This can be foun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ga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reflected the times of the time. This paper examines the authorlal inten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hese Gasa works with reference to and discusses their material value.
목차
1. 머리말
2.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 작품 원문과 내용 검토
3.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 이본 비교
4. 맺음말 - 자료적 가치와 함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