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이용수 120
-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writing and motivation based on topic sele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expository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성엽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143~1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제 선택 여부에 따른 중학생 필자의 설명글 쓰기 수행과 쓰기 동기 차이를 비교한 실증 연구이다.이 연구에는 서울시 중학생 196명이 참여하였고,두 차시에 걸쳐 수집한 학생들이 작성한 주제 제시형 설명글 쓰기와 쓰기 동기,주제 선택형 설명글 쓰기와 쓰기 동기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크게 네 가지다.첫째,대응 표본t-검정 결과 중학생 필자들은 주제 제시형 쓰기에 비해 주제 선택형 쓰기를 수행할 때 쓰기 유창성(글자,단어,문장 수)이 높고 소요 시간이 길었다.둘째,대응 표본t-검정 결과 중학생 필자들은 주제 선택형 쓰기에 비해 주제 제시형 쓰기에서 글이 질적으로 우수했는데,글의 내용과표현 영역의 점수 차이가 유의했다.셋째,대응 표본t-검정 결과 중학생 필자들은 주제 제시형 쓰기에 비해 주제 선택형 쓰기에서 쓰기 동기가 높았는데,특히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의 차이가 유의했다.넷째,쓰기 수준별 집단에 따른 쓰기 동기를onewayANOVA로 검증한 결과 주제 제시 유형에 따른 민감도는 상>하>중 집단 수준으로 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the expository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motivation of secondary student writers according to whether they selected a topic. In total, 19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associations of the student’s topic-presented and topic-selective expository writing in two sessions with their motivation.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a paired sample t-test showed that secondary students had higher writing fluency(number of letters, words, sentences) and took longer when performing topic-selective writing than topic-presented writing. Second, the paired sample t-test, showed that secondary students achieved better writing quality(only content and expression were significant). Third, paired sample t-test, found that secondary students had higher motivation(just in writing attitude and writing efficacy were significant) for topic-selective writing. Fourth, one-way ANOVA of writ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group by writing level found that the sensitivity to the type of topic presentation increased in the order upper > lower > middle group level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