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Exploring the innocence of a child and the concept of veneration in Jeong Jiyong’s poetr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종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725~7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지용의 시와 동시를 유교적 사유로 접근한 것이다. 정지용의 시정신은 동양사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생각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이미 정설로 굳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정신을 유교사상에 의해 규명하려고 한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유교사상의 두 축, 즉 ‘의(義)사상’과 ‘경(敬)사상’ 중 ‘경(敬)사상’으로 그의 시정신을 규명하려 했다. 특히 정지용의 동시는 이런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측은지심의 근원을 볼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시정신을 바로잡아 가기 위한 객토작업이 동시 쓰기라는 것이 이 글에서 부수적으로 밝히려 했다.
영문 초록
Poems by Jeong Jiyong are focused on expressing the piety, fascination and reverence in nature and the world. He used to transform ordinary images into his own poetic words. The authentic vitality of his language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he instantly picks up on everything, rather than relying on abstraction. Languages flowing from childlike innocence are concrete and pertinent. ““Strong traction to tangibility…….we look for the utmost definiteness of beings in poems rather any other languages””. This could be seen as a manifesto of his expectancy in this pursuit. As he wrote ““Printed as a flower pattern”” in his poem 『Back Rock Dam』, he couldn’t be more precise in choosing his poetic words. The innocence of a child’s mind is comparable to the maximized purity sustaining the original nature out of the Seven Passions. Genuine Innocence and purity comes out when whatever objects are projected as the spring of wonders, and admiration leads you to inner appreciation. Defining childlike innocence as “truthful thought and feelings flowing from the inner world without any attachment to external restraints and interference” can be perceivedthat the definition itself puts certain limits on boundaries. I would rather put “human being’s natural and physiological function which reflects psychological needs and desire, the primitive personality comes from naivety of human beings” to open the concept toward liberalness. His childlike innocence can be the minimized desire and demand of human beings. We find some people designate Jeong Jiyong’s work as scenic poems and concern about the direction he took in his creation of poems. “Even though the serenity and lucidity of his pursuits are meaningful due to their spiritual fundamentals, the possibility of denying the instinctual energies concealed in deep consciousness can cut the corner to the wide and bountiful world.” I consider their concerns as groundless. Poets who are easily fascinated by the wonder of nature can be said to have a lively sense. Accordingly, those readers who are touched by these poems are living with that sense as well. Those who witness their sense in full vitality never deny their own energy and explore the wonders of the world. The only shortcoming would be his tendency toward nature in the time of barbarity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being less concerned for the dignity of human beings. In human beings’ position, as nature itself exists for human beings, putting priority on the life of human being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that term, his version of childlike innocence is different from the core value of innocence by Yoon Dongju.
목차
Ⅰ. 서론
Ⅱ. 동심(童心)이 시심의 터전
Ⅲ. 시 정신의 뼈대, 경(敬)사상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