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period (1948-1954)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337~3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국어 교재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먼저 분석을 위해 그 배경이 되는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교과서에 나타난 주제를 크게 대별하여 역사, 지리, 학교/놀이, 도덕성을 위주로 분석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북한 교과서에서는 스탈린이 해방의 은인으로 크게 부각되어 나타났고 아울러 김일성도 위대한 영웅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지리에서도 나타났고 평양과 모스크바는 동경의 장소로 묘사되었다. 또한 공산주의 사상이 강조되었으며 학생들은 우등생 근로자들과 농민은 모범적인 일꾼이 될 것을 강조한다. 여성들은 기존의 역할에다가 남자가 하는 일까지 감당해야하는 이중적인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한의 교과서는 3.1절을 강조하고 태극기, 무궁화, 등을 강조한다. 한국의 전통명절인 설도 지키는 것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미국과 같이 반공사상이 강조되고 있으며 미국의 크리스마스가 마치 한국의 명절처럼 소개되고 있다. 또한 미국사회의 핵가족제도가 한국의 사회처럼 묘사되고 있으며 남한의 시민공간이나 아동들이 노는 공간적 배경들은 미국의 것과 유사하게 나타나있고 읍사무소나 경찰 등에 대한 묘사에서는 위정자위주의 담론으로 표현되어 있음을 본다. 양쪽 교과서에서 모두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내용이 상당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고 아동들의 세계라기보다는 어른들의 규범화된 이념적인 세계가 교과서에 많이 그려져 있음을 보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h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period (1948-1954). I surveyed the development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n education in this era,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cantering on the key themes illustrated, such as history, geography, schooling/playings and morality. North Korean textbooks praised Stalin as a liberator of North Korea, and promoted Kim il-seong as a great national hero in Korea. This phenomenon was also found in geography, Phyeongyang and Moscow were depicted as idealistic places for basal readers. In addition, Communism was stressed and students were strongly encouraged to become excellent students and workers/farmers to become model workers/farmers. For females,more male tasks are added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tasks. South Korean textbooks stress the Independence March Day (3.1), Korean national flag and national flower symbolically to promote patriotism. South textbooks also depict traditional Korean festivals like Seol. Yet American influences are also found. Anticommunism was stressed and Christmas was depicted as if it were a Korean festival, and the American nuclear family system was introduced as Korean. In addition American civic spaces are depicted as Korean ones. Further, paying taxes are stressed and policemen are depicted in a favourable manner. Both textbooks lack the content which awaken nationalism and Korean spirit, and depict false children's world, but the nominalized adult world, and adult ideologies
목차
1. 서론: 해방후 시기의 남북 교육의 변화
2. 연구 방법
3.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