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이용수 3
- 영문명
- Imaginary Mechanism shown in the TV drama show 'To catch up with mothers in Kangna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덕화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705~7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나의 작품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작가는 현실을 선별하고 그것을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플롯화한다. 그러나 그것에 의존해서만 안 된다. 작품을 이루는 데 있어 상상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머릿속에 담고 있는 상상력을 어떠한 시선과 장치로 드러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며 바로 상상적 메커니즘이 작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의도와 목적을 위해 나타내고자 한 작가만의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해 ‘보는 자’의 위치에 놓여진 시청자들은 영상을 보고 스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일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이를 위해 드라마 외에 많은 텍스트, 영화, 소설 등을 감상하는 데 있어서도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나의 텍스트·작품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작가의 의도, 작품 안에서 현실의 시청자들을 향하는 작가 자신만의 독특한 시선인 ‘상상적 메커니즘’은 드라마의 구성 요소인 공간과 인물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부분에서 용의주도하게 기획되어야 한다. 작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강남이라는 공간을 빌려 새롭게 나타내고자 했으며, 화면 속으로는 강남 엄마들, 민주와 그녀의 동창생들만의 이야기처럼 보여지지만 결국엔 그 모습이 한국의 모든 부모들의 모습이라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자녀의 인성과 자녀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꿈을 심어주기 위해 도와주는 부모가 아닌, 오로지 자녀들에게 모든 것의 우선을 교육에 둠으로써 그 외의 다른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한국 부모들의 모습들을 대변하는 것으로서 보여 진다. 따라서 <강남엄마 따라잡기>는 ‘강남과 강북의 현실적 차이’ 혹은 ‘강남 교육의 실상’를 넘어 ‘현재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을 꼬집기 위해 현실을 선택하고 플롯화한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의도는 드라마를 이끌고 있는 인물들을 통해 잘 나타난다. 등장인물들의 대사, 몸짓들도 결국엔 작가의 의도와 의식을 대변하는 것이 된다. 작가의 총체적인 시선을 담고 있는 대표적 인물은 현민주로서 변화된 의식을 통해 작가는 자신의 세계관을 더욱 분명하게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과 인물을 통한 상상적 메커니즘은 영상 매체라는 드라마의 초점에 맞춰 미디어 기술에 의해 현실적으로, 실감나게 플롯화한 것이다.
영문 초록
One of the specialties of TV drama show is that it tells story of routine human life rather than dramatic story and it also reflects reality more than movie. 'To catch up with mothers in Kangnam' exactly shows this kind of characteristics of drama show. By finding the most viable suppression in education system, this TV drama show tells about the past and the present of school education and analyzes vague concept of reality and imagination through mechanism of imagination. In other words, its story writer 'made up' a reality in new aspect through various characters and situations by using his or her own imagination. Imaginary mechanism, which is a writer's intention to show through a piece of work and a unique point of writer's own view from a piece of work to readers or viewers, is not only planned in space and character but in every aspects of this TV drama show. Its space is Kangnam as a place of story from beginning to end which just looks like it represents the whol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Another terms representing Kangnam like 'Tower Place' or 'the 8th education district' is the present of Korea through the writer's point of view. To show this reality in a new story, the writer utilized a space called Kangnam and it shows the reality of every mothers who desperately care about their children education by telling stories about mothers in Kangnam, Minjoo and her school friends in the screen. These mothers do not actually consider and support their children's dream and goals but they simply struggle to raise their children enough to survive in this society as part of high social class. This is being a reality of this Korean society which the writer tried to express in this TV drama show, not only talking about 'difference between Kangnam and Kangbuk', 'real situation in Kangnam education' but also describing 'problems of education system in Korea as a social issue'.
목차
1. 들어가기
2. 본론
3.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