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anonization of Modern Literature in the 1930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숙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681~7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930년대 삼천리사의 문학전집 구성 과정을 돌아보며 ‘정전’의 문화적 기원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전’으로 계열화된 문학사는 근대지식의 자족적 체계인 동시에 문화적 지형 위에서 생산 유통된 자본과 제도의 결과이다. 1930년대 근대문학은 조선학의 풍미와 독자층의 확대라는 문화론적 지형 위에 놓여 있다. 삼천리사는 이것을 조선문학의 ‘명작화’ 기획과 <조선문학전집>의 발간으로 구체화하며 근대문학 정전화에 일보를 내딛는다. 삼천리사는 5년 동안 총 4번에 걸쳐 명작(정전) 목록을 제시하면서 이 기획에 박차를 가하는데, 매번 정전 목록이 달라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열과 편집, 선택의 기준이 달라지고 있어 식민지 정전 구성의 과정을 살피기에 적합하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문학 장르의 분화’와 ‘식민지 시기 문학정전의 구성’ 과정을 탐색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canonization of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literature of the 1930s. As『Samcholli』 connected “the revival of learning” and “national business” from the initial issue, it describes ambivalent situations like capitalistic reality principles and nationalistic ethics as the media identity. This is connected to planning magazines, so it comes into the open for people to read as “the only scriptures” of literature thinking of Chosun Dynasty. The Samcholli company’s process of selecting masterpieces was proper to find out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composing canonization in the colonial period was systematical. It presented the list of masterpieces(canonization) five times for 5 years, which is diversely meaningful. The list of canonization differs every time, and the standards of alignment, edit, and selection become also different. ‘Canonization’ is connected to ‘list’ comprising of selections, ‘reorganization of literary power, and ‘the specialization of literary genres’.
목차
1. 1930년대 문화론적 지형과 문학 출판
2. 계몽‘독물’에서 ‘명작’으로: 독자-대중의 등장
3. ‘명작’에서 ‘정전’으로: 선별과정의 가시화
4. 기억의 제도화, 문학의 정전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