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이용수 23
- 영문명
- Inquiring the Diection of research for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호정 김은성 남가영 박재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211~2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국어교육적 맥락에서 여타 교과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오개념을 재개념화하고, 내용 및 방법적 측면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주의적 관점 하에 국어 학습자의 사전 지식 및 신념을 의미 있게 조망할 수 있으며, 가르치고 배워야 할 국어과 지식 내용을 확립하고 명세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를 의미를 지닌다. 이에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범주화하고, 연구의 실질적인 절차 및 방법을 구안하였다. 국어 교과의 중핵을 이루는 개념이 존재하는 한, 이들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작업은 체계적인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기획과 실천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오개념 연구는 교수ㆍ학습의 주체와 환경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인 동시에 ‘내용 중심적’ 연구라는 점에서, 국어과 오개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in specific area,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 Students have informal knowledg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refore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understand per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at student had take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history. But, There were no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findings on misconception in Other subject education, especially Science education & Mathematics education. On the base of the result of this review,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s of research in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cessity, domain & object, procedure & method of research in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필요성
Ⅱ. 국어과 오개념의 개념 정립 방향
Ⅲ.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범주와 대상
Ⅳ.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절차와 방법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