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이용수 0
- 영문명
- Discourse On Media-Linguistic Education Approach On TV Discussion: Application of Meta -based TV Discussion Teaching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련 이남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161~210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 사회의 토론 문화 발달 정도와 그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 척도와의 관계가 비례한다는 사실은 그 사회에서 개진되는 토론의 빈도나 주제와 관련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토론의 과정이 얼마나 민주적으로 진행되느냐에 대한 판단과 관계가 깊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진행되는 토론을 보게 되면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찾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합의에 이르는 절차도 생략되며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일방적 주장만이 거듭되는 경우가 많아 토론의 과정이 녹록치 않은 문제임을 절감하게 된다. 그러나 토론에 대한 개념적이고 본질적인 이해 부족이 사회적으로 만연되어 있다고 해서 그리고 토론 문화의 부재라는 현상이 자조적으로 일상화되어 있다고 해서 우리의 토론 현실 을 개탄만 한다거나 쉽사리 용인해 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토론은 의견 교환이나 공론 생성이라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한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을 끌어올릴 수 있는 척도라는 점에서도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용적으로 끊임없이 고구(考究)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른 매체에 비해 지속적이고 활발한 토론 프로그램으로 정립되어 온 ‘TV토론’에 주목하였다. 그 방법적 관점은 매체언어교육적 관점을 취하되 국어교육 교수ㆍ학습 현장에 유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TV토론에 대한 메타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적 관점은 텔레비전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해독하고 창조적으로 전유함으로써 온전한 의미의 텔레비전 리터러시 교육을 모색하는 데 보다 생산적이고 풍요로운 시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fact that the relations are proportional between the development levels of discussion culture and the development levels of social democracy has close links with how democratic discussion process is being made, rather than with how often themes of social issues are being discussed. But, recently- ongoing discussions find people paying no attention to what others say. And, even the procedures of discussion agreement are often being made. Instead, the repetitively discretional discussions are often found, enabling us to feel acutely that discussion process needs to be improved too much. But, we must neither lament nor accept our unfortunate discussion reality because of the lack of essential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discussion and the absence of discussion culture widespread in our society and everyday life. Needless to say, discussion has to be considered without cease not only academic but practical perspectives, in the sense that discussion play a role to create social communications and furthermore democratic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thesis was on 'TV Discussion' established as steadfast and active discussion program, compared with any other media. The methodological viewpoint was observed in light of meta- dimension of TV discussion, based on useful and effective appl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learning field, under the premise of media-linguistic education viewpoint. The result showed that media-linguistic viewpoint on TV discussion can provide more productive and affluent point in the process of seeking more constructive and sound TV literacy education, by interpreting and delivering TV texts in a creative way.
목차
Ⅰ. 서론
Ⅱ. ‘메타TV토론’의 국어교육적 이론화
Ⅲ. ‘메타TV토론’의 교육 내용 구성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