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Literary Acceptant shape of history i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곽정식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609~6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신숙주부인전>에서 역사적 사실의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작가가 역사 사실을 바탕으로 어떻게 작품 내용을 허구화하는지 알아보고, 아울러 이를 통해서 소설사적 의의를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신숙주부인전>은 계유정난을 비롯한 세조의 일련의 왕위찬탈 과정에서 신숙주와 부인 윤씨가 겪는 심적 갈등을 중심으로 서사가 이루어진다. 세조의 왕위찬탈 과정은 실록과 야사에 전하는 내용을 비교적 충실하게 수용하고 있으나, 중심인물의 형상화 과정에서는 작가가 인간 심리의 내면을 깊이 파고들어 인물의 행위에 필연성을 부여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세조를 知遇로 하여 출세 영달한 신숙주에 대비시켜 부인 윤씨를 끝내 자결하는 인물로 그려냄으로써 유교적 명분론에 입각하여 신숙주의 변절을 매도, 질책하는 효과를 거두었다고 하겠다. 이처럼 <신숙주부인전>은 역사적 사건 및 이에 관련된 문제적 인물을 소재로 취했으되 사건의 본질과 전말을 왜곡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부분적으로 허구적인 재창조가 이루어졌을 뿐더러, 사건의 전개 및 인물의 역사적 행위를 그려냄에 있어서도 현실적인 맥락과 개연성이 전제되고 있어 소재의 역사적 성격이나 실재성이 훼손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20세기 초 역사소설에서 하나의 典範이 되고 있는 바, 소설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recognizing the literary acceptant shape of history in . As the time background of is just a part of history, we check the historical facts appearing in the novel. is also unique in the fact that was based on 《Danchongsilnok》 and 《Saechosilnok》, the authentic historical record. is a work which describes usurping the throne by Suyangdaegun under the King Danchong's rule. This work generally referred to the record of 《Danchongsilnok》 and 《Saechosilnok》 when it was centering on the informations about characters and incident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among SinSukju and Mrs. Yun was changing or expanding on the basis of an author's fabrication or imagination. From , we can find the positive acceptant shape of historical facts under the king Danchong's rule. and also the conflict between SinSukju and Mrs. Yun. In , the writer is trying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historical facts why SinSukju surrendered to the King Saecho. Mrs. Yun was fabricated character by acceptance of traditional legendary and author's imagination. we can check in it one of the author's historical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Confucian justice. This content filled in a blank of the historical record with traditional legendary and author's extreme imagination. Though the historical facts are mentioned in fragments, we can find out that the author not only has deep knowledge of the historical process concerning with usurping the throne by Saecho, but also in aware of traditional legendary. In conclusion we can vest the status as a model of historical novel toward in the early years of 20th century.
목차
1. 들어가기
2. 역사적 사실의 소설 수용 양상
3. 소설과 역사적 사실과의 거리
4. 역사 수용 양상에서 본 <신숙주부인전>의 소설사적 의의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