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Jeju Dialect Intonation of Jeju people in Japan: case study on speakers older than 70s in Osaka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영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407~4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실험음성학적 방법(PCquirerX)을 이용하여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고 있는 제주방언화자들의 억양의 양상을 분석하여 이 화자들에 나타난 대표적 억양 패턴을 제시하고 기능을 해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제주방언의 고유한 형태가 소실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주방언의 보수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고 간주되는 재일동포 제주출신 고령의 방언화자들을 제보자로 하였다. 재일제주인이 집단적으로 밀집하여 있는 대표적 지역인 오사카 지역으로 이주한지 50년 이상 된 고령화자의 구어 담화를 인터뷰형식으로 녹음하여 음성자료로 이용하였다. 재일제주인 방언화자가 발화한 음성언어의 억양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에서 제주방언의 보수형을 구사하는 그들의 음성언어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또한 낭독체 담화가 아닌 구어담화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제주방언의 억양이 실제 언어생활에서 실현되고 있는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 제보자가 반복하여 사용하는 억양패턴들과 두 명 이상의 제보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억양패턴들을 통해 제주방언의 고유한 억양패턴으로 정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 억양패턴들이 문장에서 배열되는 양상들을 분석하고 기술함으로써 제주방언의 구어담화에서 억양이 담당하는 역할을 조명하는 한편 화자가 구어 담화에 필요한 전략적 도구로 억양을 사용하는 방식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differents caracteristics of intonation in Jeju Dialect are analyzed and described by experimental phonetic method(PCquirerX). Jeju Dialect informants (5 female speakers) in this study are older than 70s who emigrated to Japan more than 50 years ago. Their discourse in conversational situation are used as corpus. Intonation patterns which are frequently realized in each informant (intra-informant shape) and which have common shape among differents informants (inter-informant shape) are presented as typical Jeju Dialect Intonation patterns : /(rising pattern), /ˆ(empnasis rising pattern1), ∨ˆ(emphasis rising pattern2), \(falling pattern),ˆ\(emphasis falling pattern1), ¬(emphasis falling pattern2), ∧(emphasis falling pattern3), ∩(emphasis falling pattern4). These patterns play important roles for organization of conversational discourse in terms of mutual influence and mutual contrast. Speakers use also intonation pattern's variability as their expressivity tool and intonation patterns disposition is interpreted as a efficient discourse strategy. As one of first expriments on intonation characteristics of Jeju dialect spoken by Jeju people in Osaka, this study can be a meaningful work. To reveal more specific aspects of Jeju Dialect intonation, many studies have to be realized after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목적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와 논의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