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Prefix Derivatives of Sino-Korean word and the Chinese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방향옥 강희숙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485~51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를 분포와 결합, 구조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논의를 위해, 먼저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사의 설정기준을 세우고 범위를 확정하였다. 따라서 두 언어의 파생어의 내부구조를 고찰하고 형태론적 측면에서 핵 계층 이론을 도입하여 두 언어의 차이점을 기술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 한자어 접두파생어는 ‘접두사+한자어’, ‘접두사+고유어’, ‘접두사+외래어’의 구성으로 나타났고 중국어의 파생어는 한자어에 비해 더욱 다양한 어휘범주의 양상을 보였다. 그 원인은 중국에서 다양한 품사로 쓰이던 한자가 한국어로 귀화하면서 중국어의 품사의 성격을 그대로 지닌 채 명사로 바뀌었으며 또한 두 언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한자어와 중국어의 어휘핵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우선, 한자어는 거의 우측핵을 따르지만 중국어는 좌측핵과 우측핵이 다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중국어의 좌핵파생어를 살펴보면, 중국어의 통사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어 통사구조의 구성 성분으로 쓰이던 것이 어휘화된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우핵파생어는 핵 계층 이론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수형도에 영접사 파생법을 적용하여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quired into and did a comparative analysis on distribution, combination, structure of prefix derivatives of Sino-Korean word and the Chinese language. First, this study set the standard and boundary of prefix derivatives of the Sino-Korean word and the Chinese language. Then,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internal structure of both derivatives, described the difference between both languages, based on X-bar theory in the aspect of morphology, and established the cause. The prefix derivatives of the Chinese character are composed of 'prefix + Sino-Korean word', 'prefix+native words', 'prefix+foreign words' and those of Sino-Korean words have more various lexical categories than those of Sino-Korean words. That is because Sino-Korean words used as various parts of speech in China was naturalized as Korean Chinese character, fixed as the noun with having the feature of parts of speech in the Chinese language, and also from the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parts of speech of both languages. First, in the features of lexical head between Sino-Korean word and the Chinese language, Sino-Korean word almost depends on the right lexical head, but the Chinese language depends on both the left lexical head and the right lexical head. The left lexical head derivatives of the Chinese language reflect the syntax structure of the Chinese language well, which shows the words having been used as the constituents of the syntax structure are lexicalized.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right lexical head derivatives by applying zero affix derivation to the tree diagram to explain them by X-Bar theory.
목차
1. 서론
2. 접두파생어의 설정기준과 목록
3. 한자어와 중국어 접두파생어의 유형과 내부구조
4. 한자어와 중국어 접두파생어의 어휘핵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