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이용수 7
- 영문명
- Reading Guwunmong for College Students and Nove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혁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 교양수업의 현장에서 <구운몽>을 텍스트로 하여 우리 고전소설 읽기, 강의와 토론, 감상문 쓰기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 그 과정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교수방법에서 교안은 크게, ‘현실 세계담의 의미’, ‘꿈속 여행담의 의미’, ‘부정(否定)을 통한 통합적 삶의 자세’, ‘해석의 다양한 시각 제시’, 네 부분으로 나눠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생들의 <구운몽> 읽기 양상을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1>유형은 양소유의 ‘인생무상’ 및 성진의 욕망과 깨달음에서 감명을 받았다는 유형이다. <2>유형은 양소유가 추구하였던 ‘부귀공명’의 가치를 긍정하는 경우이다. <3>유형은 <구운몽>의 글쓰기 방식 및 다른 제재에 주목한 경우이다. <구운몽> 교양 수업은 작품의 사변적, 유희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음미하며, 다양한 질문과 토론의 방식으로 철학적 사유와 자기성찰을 촉발할 때 그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analyze approaches to teaching the reading of a classical novel, giving a lecture and having a discussion, and guiding students about the way of a review using a Korean classical novel, Guwunmong, in an actual college classroom. The syllabus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the meaning of the real-world story,’ ‘the meaning of the travel story in the dream,’ ‘the attitude toward an integrated life through denial,’ and ‘suggestions of diverse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Next, the ways in which college students interpreted Guwunmong are explained by being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type is the group that was impressed by Yang Seong-jin’s ‘vanity of life’ and his desire and realization. The second type is the group that positively accepted Yang Seong-jin’s pursuit of honor and fame. This group of students paid attention to Yang’s achievement and the love he gained in his youth, rather than in his older years. Finally, the third type is the group that had an interest not in the subject of Guwunmong, but in the way that Guwunmong was written, its epic technique, and the passive lives of women. Guwunmong can be read and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ader’s perspective, as well as his or her situation at the time of reading the novel.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novel accurately, a professor should give students a good grounding in the structure of the novel through a lecture, and introduce them to the epic strategy of the writer, based upon which it is desirable that subjects such as desire, frustration, life, dream and perpetuity should be discussed. In conclusion, I suggest a teaching method that would induce student to have a deeper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Guwunmong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rasing a problem.’
목차
Ⅰ. 대학생 고전 읽기의 현장과 <구운몽>
Ⅱ. <구운몽>을 통한 소설 교육의 방향
Ⅲ. 대학생들의 <구운몽> 읽기 양상과 논점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