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in Media Materi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엄해영 조재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285~3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보완 교재인 CD 개발을 중심으로 하여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 연구에선는 ‘언어’ 자체가 매체이므로 ‘매체 언어’라는 용어는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복합 양식 언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미디어 문식성’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고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미디어 자료 개발의 문제점으로 교과서 집필자와 CD 집필자의 별도 운영되는 점, CD 자료가 듣기ㆍ말하기 교과서에 한정하여 개발되는 점, 교과서에 나온 자료만 제공한다는 점, 별도 CD-롬 형태만으로 학교에 보급하기 때문에 제한된 사람들만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 CD 자료 개발 예산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교과서 집필자들이 CD 집필을 할 것, CD 자료를 듣기ㆍ말하기 영역 외에 다른 영역의 매체 관련된 내용을 반영할 것, CD 자료에 참고 자료를 많이 제공할 것, CD-롬 형태 대신에 웹 페이지에 CD 자료를 탑재할 것, 미디어 자료(CD) 개발하기 위한 예산을 충분히 확보할 것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velopment in media materi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ing on development in CD, which is the complimentary teaching material of Korean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First of all, 'language' itself is media, thereby having seen the terminology called 'media language' as inappropriate, and having discussed it to be proper to use terminology called 'media-literacy,' which has a meaning of communication in multiliteracies language. Next, as problems about development in media material for elementary school, it took a point that textbook author and CD author are operated separately, a point that CD data is developed by being limited to listeningㆍspeaking textbook, a point that offers only material shown in textbook, a point that only the limited people can get access because of being supplied to school just in the separately CD-ROM form, and a point that is short of budget for development in CD material. And, as solutions on this, it suggested what textbook authors write CD, what reflects contents related to media in other spheres other than the listeningㆍspeaking spheres as for CD material, what offers many references to CD material, what mounts CD material on web page instead of the CD-ROM form, and what fully secures budget for developing media material(C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
Ⅳ. 초등학교 미디어 자료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