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이용수 12
- 영문명
- Language differences in Korean compositions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n descen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창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431~4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17년 동안 양국의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중국 내 조선족 동포 사회와 우리 사회의 거리도 부쩍 가까워졌다. 이와 함께 한국어가 재중 동포의 민족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 논문은 재중 동포 대학생들의 작문을 통해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을 살펴본 것이다. 언어 차이는 표기, 발음, 어휘, 표현,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 문장 부호 등으로 나누어 살펴 본 바 특히 어휘면에서 언어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차이는 해외 동포의 모국어 교육이나 외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큰 지장을 초래한다. 특히 남북의 표기법 차이와 한국에서의 외래어 과다 사용은 북한식 중국 조선어에 굳어진 재중 동포의 언어생활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을 주고 있다. 한국과 중국 조선어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고 한국어의 세계화(Globalization of Korean)를 위해서는 한국, 중국 조선족, 북한 세 나라 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하루 빨리 통일된 언어규범을 만들어 그에 따른 통일된 언어를 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n 1992, the Chosun people in China and Korean people have been getting closer with the frequent exchanges between the two communities. Accordingly, the Korean language in China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Chinese people of Korean descent.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the Chosun language in China and modern Korean through the examination of some compositions written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n descent. For language differences, we examined spelling, pronunciation, vocabulary, punctuation, appropriate use of expressions, spacing, use of foreign terms and expressions. Of these item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vocabulary.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differences cause big problems both i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or ethnic Koreans overseas and foreigners. This is most prevalent in the Chosun language in China which adopts the North Korean standard, especially given the different notational system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excessive use of foreign terms and expressions in the South Korean language also poses serious obstacles to language usage. To overcome the language differences and to effectively globalize the Korean language, scholars representing Korea, the Chosun people in China, and North Korea should gather to discuss these problems and to implement a standard set of rules to apply in the global setti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Ⅲ. 언어 차이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
Ⅳ.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