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이용수 28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eedback Available for University Academic Writ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염민호 김현정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311~33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 사업의 핵심 교과로 인정받고 있는 ‘글쓰기’ 교과 운영에서 중시하는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에 속하는 ‘표적 집단 심층 좌담회’와 ‘수업 관찰’을 활용하여, ‘글쓰기’ 교과 운영에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을 조사하여 분류하였다. 피드백의 개념, 구성 요인, 유형에 관한 검토 결과, 피드백의 개념은 학문 영역에 따라 달리 규정되며, 피드백의 본질적 특성은 피드백을 받는 개인의 성격, 메시지의 특성, 피드백을 주는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피드백 구성 요인으로는 피드백의 출처, 기능, 인지 등을 구분하여 논의했다. 피드백 유형은 피드백 성격, 영역, 차원, 주체로 구분했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으로는 교수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 연구는 피드백의 구성 요인을 더 명확하게 밝히고, 수업 상황에 실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피드백 관련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의 폭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eedback, which is highly valued in 'academic writing classes' as one of the core courses accelerating innovation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majo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the study identified and classified feedback methods available in academic writing class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ncepts of feedback may be defined differently within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feedback may differ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 person receiving feedback, the features embedded in the message, and the features of the person giving feedback. Also, the components of feedback, including sources, functions, and perceptions were discussed. The feedback styl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nsidering the style’s character, area, dimensions, and actors. The study further suggested two types of feedback, faculty feedback and peer feedback, which are available in academic writing classes.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feedback by clarifying the major components of feedback and by suggesting practical methods of feedback available to academic writing classes.
목차
I. 서론
II. 피드백의 개념, 구성 요인, 유형
III. ‘글쓰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
I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