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study of phonological description and orthography of the standard Kore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엄태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3호, 515~53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표준어에 대한 음운론적 기술과 그것을 어떻게 표기에 반영할 것인가를 연구했다. 표준어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는 한글맞춤법과 표준발음법을 좀 더 합리적으로 규정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우선 어휘의 기저형에 대한 음운표시를 사전에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이유는 한글이 음소문자이기는 하지만 음소 자체의 변화로 인해서 문자가 지시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기저형의 문자표기는 한글맞춤법의 핵심사항이다. 우리는 기존의 맞춤법을 큰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기를 주장했다. 그러한 이유는 맞춤법의 변경이 커다란 혼란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제안한 방법은 소리의 변화에 맞추어 어휘별로 점진적으로 표기를 변경해 가도록 하는 것이다. 한글은 근본적으로 표의문자가 아니라 음절까지를 구분하는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음소문자이기 때문에 고정된 문자표준어를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소리표준어를 대상으로 할 것을 논의했다. 표면형은 음운규칙의 적용에 의해서 나타나는데 음운규칙을 표준발음법에 규정할 것을 주장했다. 음운규칙은 범주에 의존하는 형태음운규칙과 음운론적 환경에만 관여하는 순수음운규칙으로 구분했다. 수의적인 음운규칙은 보조규정으로 필수적인 음운규칙과 구별했다. 이외에도 준말과 한자어에 대한 표기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the standard Korean. A phonological study of the standard Korean will help to standardize the Hanguel orthography. To begin such an endeavor, the underlying form of the word should be registered on dictionaries as cert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nguistics inherently cause ambiguity of meaning. Whether to record the underlying form or the surface form is a key issue in Hanguel orthography. I propose that a gradual change in the orthography in accordance with changing of the underlying form is the most compelling solution. The object of Hanguel orthography is not a letter standard language, but a sound standard language. In the same vein, it is then also appropriate to make the standard pronunciation norm for Hanguel orthography. The surface pronunciation is decided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rule, which I subdivide further into morpho-phonological rule and pure phonological rule. In addition, I propose recording of the shortened word as well as using Chinese characters under particular conditions.
목차
1. 서론
2. 기저형의 음운론적 표기
3. 기저형의 문자표기
4. 표준발음법
5. 문자표기의 발음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1930년대 명작선집 발간과 정전화 양상
- 대학 교양수업에서 <구운몽> 읽기와 소설교
-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정지용의 시에 표현된 동심과 경(敬)사상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
-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 20세기 후반 대중가요 노랫말의 오용 실태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試論)
-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교과서 시의 난이도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표준어의 음운론적 기술과 표기법에 대한 연구
- 재일제주인 제주방언화자의 억양에 대한 연구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접두파생어 대조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연구
- 대학의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재중 동포 대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