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리적 요인이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5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Graduates’ Employment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박주상(Park Joosang)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3, 1297~131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요인 중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분석하여 청년고용 문제와 관련된 정책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2020년에 공개된 한국고용 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7GOMS) 자료를 이용하여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심리적 요인을 주도적 대학선택, 취업목표, 희망임금으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인 취업성과는 취업, 정규직취업, 대기업취업, 임금수준, 직무만족도라는 5개의 대표변수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주도적 대학선택은 취업과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취업목표는 취업의 질을 나타내는 정규직 취업, 대기업 취업, 임금 수준, 직무만족도에서 모두 정(+)의 방향을 나타냈다. 희망임금은 정규직 취업, 대기업 취업, 임금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특히 주도적 대학선택이 취업의 질을 나타내는 정규직과 대기업취업 그리고 임금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한국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처럼 불안정고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졸청년층의 개인역량과 사회경제적 요인들 뿐 만 아니라 통제 불가능한 비인지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들도 고려하는 청년고용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i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the youth employment problem by analyzing its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determining factors of employment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In this study, psychological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prior research, including voluntary university selection, employment target setting, and minimum wage desired, and the employment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five representative variables: employment, full-time employment, employment at large companies, wage level,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oluntary university sele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goal indicated positive direction for full-time employment, employment at large companies, wage levels and job satisfaction, indicat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The desired minimum wage had a positive impact on full-time employment, employment at large companies and wag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youth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not only the individual capabilities and socioeconomic factors of college graduates but also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be called uncontrollable non-recognition characteristics in the face of continued instability in employment as it is now.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개요와 선행연구 고찰
3. 대졸청년층의 고용성과와 변화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상(Park Joosang). (2021).심리적 요인이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 (3), 1297-1311

MLA

박주상(Park Joosang). "심리적 요인이 대졸청년층의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3(2021): 1297-13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