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이용수 188

영문명
Modern Literature Writers Recognition of Sino-Korean Words and Korean/Hangul Styl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문혜윤(Moon, Hye-Yo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7집, 105~1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 ‘국문’ 담론은 민족의 존립을 언어에 투사하는 어문민족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국문’ 담론의 주장과 ‘한글’ 문장의 실제는 겹치기도 하고 분절되기도 하였다. 이 글은 한글 문장의 형성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한문/한자/한자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문학자들의 한자어 인식 변화를 살폈다. 1910년대 한글 문어 체계 수립의 중심 문제는 ‘언문일치’였다. 이는 어휘와 구절을 배열하는 어순의 문제였다. 한문식 문법이 가미된 구절이 문장 안에 있다고 하더라도, 한문 구절들을 이어붙이는 한글의 토나 문법적 요소가 개입함으로써 문장을 만들 수 있다. 한문식 문법의 개입 정도, 한자 표기의 노출/비노출, 한자어 사용의 빈도 등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1930년대에는 표의주의 표기법을 주장하는 쪽의 한자/한자어 배제와 표음주의 표기법을 주장하는 쪽의 한자/한자어 허용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문학자들은 표의주의 표기법에 찬성하였지만, 한글 문장의 표현 범위 확대를 위해 한자 노출 표기를 허용하고, 다른 것으로 대체되지 않는 한자어의 고유 영역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에는 한자와 한자어의 배제를 통해 ‘순수한’ 국어를 수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문학자들은 더 이상 어문운동의 대의에 동조하지 않고, 한자어가 생활에 스며든 정도를 파악하여서 한자 표기를 노출하지 않는 한국어의 일부로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한글 문장의 형성에 한자/한자어의 문제는 끊임없이 개입한다. 국문체로의 전면적인 전환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자국문의 성립이 필수적인 국가 형성의 시점과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자어까지 순우리말로 모두 대체되지 않는 이상, 우리는 여전히 국한문체의 끝 단계에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국한문체와 국문체를 대립적인 것으로 파악해 온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odern “Korean” discourse was influenced by linguistic nationalism, which projected the existence of the nation into language. The arguments of the “Korean” discourse and the reality of the “Hangul” sentence were both overlapping and fragmented.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ino-Korean words by the writers, focusing on the issues of Chinese/Chinese characters/ Sino-Korean word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in the process of forming Hangul sentences. The central problem in establishing the Hangul written system in the 1910s was the unification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 It was a matter of vocabulary and phrases order in which were arranged. Even if a phrase with Chinese grammar added to it is in a sentence, it is possible to make a sentence by intervening with the Korean to[토] or grammatical element that connects the Chinese verses toget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hinese grammar, exposed/non-exposed Chinese characters, and frequency of use of Sino-Korean words did not matter. In the 1930s, the question of the exclusion of Chinese characters/Sino-Korean words from the side that insisted on the ideological notation and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Sino-Korean words from the side that insisted on the phonetic notation was raised. Literature writers favored the ideological notation, but to expand the expression range of Korean sentences, they allowed the display of Chinese characters to be exposed and tried to maintain the unique area of Sino-Korean words that were not replaced by others. In the 1950s, there was a movement to establish a “pur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exclus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Literature writers did not agree with the cause of the language movement anymore and tried to understand the degree to which Sino-Korean words permeated their lives and to accept them as part of the Korean language that did not expose Chinese characters.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Sino-Korean words is constantly intervening in the formation of Hangul sentences. The reason why a complete transition to the Korean style was achieved i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cript was in line with the time of the essential state formation. However, unless all of the Sino-Korean words are replaced by pure Korean words, we can st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final stage of the Korean-Chinese styl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way that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s have been regarded as confronting.

목차

1. 국문/한글 문체, 그리고 한자어
2.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
3. 국한문체 재인식의 필요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혜윤(Moon, Hye-Yoon). (2021).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한국문학논총, 87 , 105-134

MLA

문혜윤(Moon, Hye-Yoon). "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한국문학논총, 87.(2021): 105-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