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크쇼, 문화적 관행으로서의 제의
이용수 125
- 영문명
- Talkshow, Ritual as a Cultural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권유리야(Kwon, Juria)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87집, 471~50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텔레비전 치유형 토크쇼를 탈진상태에 있는 개인들이 고백→치유→영적 각성의 과정을 거쳐 재사회화되는 과정으로 보았다. 1) ‘공개고백과 미디어 공공가족’에서는 공개고백을 사적 개인의 공적 진술로 인식한다. 공개고백이 진실한 자아를 찾아가는 길이 아니라, 오히려 고유한 자아를 포기하고 사회적 자아를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본다. 2) ‘매력자본과 탈시사적 힐링’에서는 토크쇼가 사회에 대한 비판보다 개인의 자기계발을 강조하는 한계를 분석한다. 텔레비전 고백이 이벤트적 성격을 띠면서, 현실을 외면하여 마치 문제가 해결된 듯한 느낌을 주는 탈시사적 힐링을 고찰한다. 3) ‘상징적 제의와 1시간짜리 임시낙원’에서는 전문가의 처방이 유사종교적 제의의 분위기를 만듦을 확인한다. 토크쇼가 목회자적인 고양된 수사로 영적 판타지를 주입하는 상징적 제의임을 비판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gnized the healing talkshow flooding in modern society as a septic tank of pain produced by neoliberalism. The talkshow is seen as a process of neoliberal deception in which individuals in exhaustion are resoci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confession→healing→spiritual awakening. 1) In ‘public confession and media public family’, the confession disclosed in the television media is recognized as a public statement of a private individual. We confirm that public confession in the media is not a way to find the true self, but rather a process of giving up the intrinsic self and reconstructing the social self. 2) In ‘charming capital and post-historical healing’, rather than a cold-hearted analysis of harsh social structures, we take this as an individual s problem and analyze the aspect that emphasizes the logic of self-development. As the TV confession takes on the character of an event that is staged on the stage, it examines the post-historical healing that gives a feeling as if the problem has been solved by extinguishing the current affairs of the problem itself. 3) In ‘symbolic ritual and one hour temporary Paradise’, you can see that the method of healing suggested by experts focuses on creating an atmosphere of ritual similar to religion. We confirm that the talkshow becomes a ritual of symbolic rituals that inject spiritual fantasy with a pastoral uplifting rhetoric.
목차
1. 서론
2. 공개고백과 미디어 공공가족
3. 매력자본과 탈시사적 힐링
4. 상징적 제의와 1시간짜리 임시낙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크쇼, 문화적 관행으로서의 제의
- 이선관 시에 나타난 ‘웃음’ 연구
-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기능
- 『소학』의 한국적 변용
- 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과 시적 수사
- 식민지 시기 신춘문예 제도와 작문 교육
- 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 김동명 시의 탈식민주의와 분열증적 사유의 의미
- 한국전쟁기 『주간국제』의 문학 활동과 문학담론
- 만해의 『유심』 기획과 한국 고유사상의 합류
- 광주, 그리고 우리에 관하여
- 조선후기 燕行錄에 기록된 청대 風俗 인식의 추이
-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 조지훈 시의 근대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