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이용수 210
- 영문명
- Cold War and the Form of Novel, the Place of ‘Jinyoung’ and Socialist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이선미(Lee, Sun-Mi)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87집, 367~39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김원일은 좌익으로 활동하다가 월북한 아버지의 이야기라는 후기나 서문을 달고 빨갱이, 빨치산, 사회주의자를 소설에 등장시킨 작품을 여러 편 쓴다. 「어둠의 혼」, 『노을』, 『불의 제전』, 『아들의 아버지』 네 편의 아버지/아들 서사가 직접적으로 아버지를 다룬 소설이라면, 『겨울 골짜기』나 『푸른 혼』은 빨치산, 사회주의자였던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혹은 아버지를 ‘아버지’로서 인정받기 위한 마음으로 창작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1966년부터 시작된 김원일의 작가로서의 창작과정에는 이 아버지/아들 서사가 강렬한 한 축을 형성한다. 이 소설들은 빨치산, 사회주의자였던 한 인간의 입체적인 모습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창작과 재창작, 혹은 개작의 과정이 필요했던 것도 아버지에게 ‘아버지(인간)’의 모습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국 아버지 서사의 창작과 개작과정은 김원일 스스로 사회적 구성원으로 인정받는 과정이기도 하다. 김원일이 성실하게 꾸준히 아버지 서사를 지속했던 것은 그것이 바로 아들, 자신의 서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검열이라는 냉전사회의 창작 구조를 비겁한 방식으로 수용하는 극히 현실적인 생존의 시간이었다. 좌익 2세의 운명이며, 현실일 것이다. 김원일은 모욕적일 수도 있는 빨갱이 아들로서의 삶을 부정하거나 벗어나지 않고 탈/냉전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삶의 영역을 착실하게 넓혀가면서 아버지/아들 서사를 진실에 육박하도록 확대해나간다. 이 서사적 과정의 완결점은 2013년에 발표한 『아들의 아버지』이다. 이 소설은 한국사회의 탈/냉전의 정치가 감각된 결과물인 듯이 사회주의자, 빨치산 활동의 중심에 서 있었던 아버지의 일대기 같은 작품이다. 이 논문이 살펴본 『아들의 아버지』 이전의 과정은 이 작품으로 귀결되어 ‘아버지/아들 서사’를 완성하는 계보를 구성한다. 검열이 일상화된 냉전사회에서 빨갱이 아버지를 아버지로서 기억할 수 없는 상황이 담겨진 ‘기억 서사’는 냉전사회가 만들어낸 문학적 성과이다. 검열과정에 타협하는 문학적 선택까지도 지난한 분단 작가의 삶으로 해석되는 김원일의 아버지/아들 서사는 냉전사회와 소설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Kim Won-il had a hard time living due to his father who fled North Korea while working on partisan activities. This fact has always influenced Kim Won-il s life. Several novels reflect this autobiographical fact. is the story of a son who must turn away from his deceased father. Because of censorship in the 1970s, sets his warm father as butcher. These novels are censorship-conscious and reconcile the facts. Due to the political changes of the post-Cold War, the father is represented realistically in the novel. openly records the socialist father s biography. It is not a documentary, but it is intended to record the real life of his father in a composition that seems to be a novel. Kim Won-il expresses his father as much as possible in the censorship of the Cold War society. Through adaptation, the facts related to the father are corrected. This paper is a study of this process.
목차
1. 탈/냉전의 정치와 김원일 소설의 아버지/아들 서사
2. 「어둠이 혼」, 무덤없는 자의 아들과 증언불가능성의 미학
3. 『노을』 이후, 증언불가능성을 삭제한 기억과 삭제된 기억을 복원하는 개작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크쇼, 문화적 관행으로서의 제의
- 이선관 시에 나타난 ‘웃음’ 연구
-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기능
- 『소학』의 한국적 변용
- 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과 시적 수사
- 식민지 시기 신춘문예 제도와 작문 교육
- 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 김동명 시의 탈식민주의와 분열증적 사유의 의미
- 한국전쟁기 『주간국제』의 문학 활동과 문학담론
- 만해의 『유심』 기획과 한국 고유사상의 합류
- 광주, 그리고 우리에 관하여
- 조선후기 燕行錄에 기록된 청대 風俗 인식의 추이
-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 조지훈 시의 근대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