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해의 『유심』 기획과 한국 고유사상의 합류
이용수 137
- 영문명
- Han Yong-Woon s Project of Yushim and Korean Indigenous Thought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홍승진(Hong, Seung-Ji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87집, 135~17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유심』의 기획 의도와 인적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만해가 잡지를 통하여 모색한 수양이 한국 고유사상인 동학(천도교) 및 대종교와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을 고찰한다. 이 잡지의 필진은 (1) 중국ㆍ일본불교와 다른 한국불교의 고유성에 주목한 조선불교, 그리고 대한제국민력회(1890년대)와 기호흥학회(1900년대)와 조선광문회(1910년대) 등의 조선학 연구로 이어지는 (2) 동학(천도교)과 (3) 대종교, 이렇게 세 가지 흐름으로 구성된다. 이는 『유심』의 성격이 불교잡지보다 수양잡지에 더 가까우며, 그때의 수양이란 한국 고유사상과 연관이 있음을 드러낸다. 『유심』의 논설에 나타나는 한국 고유사상의 특성은 (1) 수양을 통한 물질문명에서 정신문명으로의 전환 모색, (2) 새로운 정신문명의 바탕으로서의 내재적 신성에 관한 사유, (3) 초월적 신성의 부정을 통한 신체적ㆍ감각적 현실에의 긍정, (4) 현실 속에서 이상을 찾는 약소민족의 잠재력 강조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님의 침묵』의 독특한 시적 성취를 가능케 하는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한용운의 시를 새롭게 이해하는 연구 시각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 Yong-Woon’s concept of Soo-Yang(cultivation) and Korean indigenous thoughts by analyzing both the project of the magazine Yushim (Immaterialism) and the network of its writers. The writers had three philosophical foundations: Korean Buddhism, Dong-Hak(Cheon-Doism), and Daejong-ism. It proves that Yushim focused on cultivation that includes Korean indigenous thoughts beyond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characteristics of Korean indigenous thoughts in the magazine are as follows: 1) Searching for turning from materialistic civilization into a new spiritualistic one, 2) Thinking of immanent divinity as the principle of the new civilization, 3) Affirming corporeal and sensible world by denying transcendent divinity, and 4) Emphasizing the potentiality of Korean as weaker people that can realize universal ideals on the world. These characteristic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an Yong-Woon’s poetry from a new perspective.
목차
1. 문제 제기
2. 조선적 수양론-조선불교와 동학(천도교)과 대종교
3. 논설에 나타나는 한국 고유사상의 특성들
4. 결론 및 추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크쇼, 문화적 관행으로서의 제의
- 이선관 시에 나타난 ‘웃음’ 연구
-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기능
- 『소학』의 한국적 변용
- 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과 시적 수사
- 식민지 시기 신춘문예 제도와 작문 교육
- 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 김동명 시의 탈식민주의와 분열증적 사유의 의미
- 한국전쟁기 『주간국제』의 문학 활동과 문학담론
- 만해의 『유심』 기획과 한국 고유사상의 합류
- 광주, 그리고 우리에 관하여
- 조선후기 燕行錄에 기록된 청대 風俗 인식의 추이
-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 조지훈 시의 근대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