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 시기 신춘문예 제도와 작문 교육
이용수 129
- 영문명
- The Colonial Period Spring Literary Contest System and Writing Education - focused on “Dong-A Ilbo”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손동호(Son, Dong-Ho)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87집, 179~21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아일보』의 신춘문예는 신진 작가의 발굴을 내세우며 등장하였다. 이는 독자 참여 제도의 시행 목적이 ‘독자’ 확보에서 ‘작가’ 확보로 변모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아동작품은 ‘작가’ 확보와는 다른 목적에서 시행하였다. 『동아일보』는 신춘문예 시행 첫해부터 문예계, 부인계, 소년계 등으로 독자의 층위를 구분하여 작품을 모집하였다. 이는 여성과 아동이라는 새로운 독자층을 발굴하여 가정란과 아동란을 신설한 매체의 지면혁신 정책과 연계된 작업이자, 이전 시기 독자 참여 제도의 전통 계승에서 비롯된 결과였다. 문화주의를 표방하며 창간한 『동아일보』는 계몽의 차원에서 여성과 아동 독자를 호출하였다. 민족을 개량하여 문명화를 달성하기 위해 아동을 교육함으로써 근대적 주체를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신문의 잠재적인 독자층을 확보하기 위해서나 문명화를 추진하기 위한 아동 교육의 필요에 의해서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장 교육은 중요한 과제였다. 작문은 이러한 복합적인 배경에서 선택되어, 신춘문예의 모집부문에 포함될 수 있었다. 신춘문예 작문 부문 당선작은 자연 묘사 및 아동의 일상을 주로 다루었다. 하지만 작문은 단순히 자연을 묘사하거나 사건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상황에서 촉발된 구체적인 감정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작문이 조선어 글쓰기를 통한 아동의 정서 함양을 지향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식민지 시기 총독부의 교육 정책은 조선어 교육을 폐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아일보사는 브나로드 운동을 주관하고, 다양한 한글 관련 기획란을 마련하여 언문철자법의 보급에 앞장섰다. 그리고 아동들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한편 조선어로 된 작품을 모집, 발표하였다. 결국, 작문은 습작을 통한 조선어 글쓰기의 보급 및 아동 계몽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아동 계몽의 실질적인 내용은 정과 동정의 함양이었다. 신문의 지면개편에 관여하고 신춘문예를 주관한 이광수는 아동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근대적 사회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감정 규범으로 정과 동정을 제시하고, 그 실현 수단으로 작문을 활용하였다. 당선작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도 시행 초기 편집진의 이러한 의도가 신춘문예 시행동안 지속적으로 관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pring Literary Contest of “Dong-A Ilbo” appeared with the excavation of young authors. However, works for children were implemented for a purpose different from discovering new authors. “Dong-A Ilbo” recruited works by dividing the layers of readers into literary, ladies, and boys from the beginning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 It was a work in connection with the media s paper innovation policy that created a family section and a children section by discovering a new readership of women and children. “Dong-A Ilbo”, which advocated culturalism, called women and children in the dimension of enlightenment. It aimed to cultivate a modern subject by educating children to improve the nation and achieve civilization. To secure a potential readership of newspapers, or because of the educational need to promote civilization, sentence education for children was an important task. The composition was conducted in this context. The winning work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 mainly coped with the depiction of nature and the daily life of children. The composition did not stop at simply describing nature or recording events, but revealed specific emotions triggered in each situati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was aimed at cultivating children s emotions through writing in Korean (Joseoneo).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governor-gener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to abolish Korean language (Joseoneo) education. In this situation, Dong-A Ilbo took the lead in spreading the Korean word spelling by managing the Vnarod movement and preparing various Hangeul-related planning sections. In addition, while providing reading materials to children, it recruited and published works in Korean (Joseoneo). The composition was attempted at the dimension of teaching sentences for children to create a modern subject. Lee Gwang-su, who hosted the Spring Literary Contest, was very interested in education for children, and was also involved in reshuffling sections of the newspaper. He presented affection and sympathy as a new norm of emotion necessary to form a modern society, and used his writing as a means of realiz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동아일보』 신춘문예의 전개와 ‘작문’ 모집
3. 『동아일보』 신춘문예 ‘작문’의 특징과 의의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크쇼, 문화적 관행으로서의 제의
- 이선관 시에 나타난 ‘웃음’ 연구
-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기능
- 『소학』의 한국적 변용
- 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과 시적 수사
- 식민지 시기 신춘문예 제도와 작문 교육
- 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한글 문체
- 김동명 시의 탈식민주의와 분열증적 사유의 의미
- 한국전쟁기 『주간국제』의 문학 활동과 문학담론
- 만해의 『유심』 기획과 한국 고유사상의 합류
- 광주, 그리고 우리에 관하여
- 조선후기 燕行錄에 기록된 청대 風俗 인식의 추이
-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 조지훈 시의 근대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