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분석

이용수 92

영문명
An Analysis of Adolescent Happiness in Relations with Parental Socioeconomic Determinant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김일표(Ilpyo Kim) 손미아(Mia Son) 김영주(Young-Ju Kim)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5 No.2, 757~76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행복감에 대한 연구는 삶의 만족감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계층을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청소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가족요인, 사회요인, 또는 건강요인에만 치중되어왔다. 본 연구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구풍요도 지수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성별, 학교 및 성적, 스트레스 등의 학생 수준의 교란 변수들을 통제한 후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기준범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층화분석한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은 청소년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부모의 교육수준에 상관없이 가구풍요도는 유의하였으며 가구풍요도가 높을수록 행복하다고 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 또는 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풍요도와 상대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행복감에 대한 오즈비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부의 교육수준이 고졸인 경우 가구풍요도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Most studies on happiness have been conducted on different social classes by using various terms such as life satisfaction. Previous studies on adolescents have focused mostly on family factors, social factors, or health factors. In this study, an analysis on adolescent happiness in relations with parental socioeconomic determinants is presented by using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prosperity index are used for parental socioeconomic determinants. Adjusting for student-level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adolescence’s gender, school, grade and stress, baselinecategory logistic regression on adolescent happiness is applied. As results, parental education level was found insignificant. Household prosperity index was found significant at all levels of parental educations. The higher the parental education levels were, the happier the student was. As either parental education level became higher, the odds ratios were increased for household prosperity index and the other parental education level. The difference on happiness for household prosperity index was the most when the father’s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표(Ilpyo Kim),손미아(Mia Son),김영주(Young-Ju Kim). (2013).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5 (2), 757-767

MLA

김일표(Ilpyo Kim),손미아(Mia Son),김영주(Young-Ju Kim).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5.2(2013): 757-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