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축학 전공학생의 장애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및 유니버설디자인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5

영문명
A Study on Awareness of Universal Design and Barrier Free Application in Architectural Students According to Experience of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노지화(Jihwa Roh)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5 No.2, 1127~113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5년제 건축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건축학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애 경험에 따른 장애에 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이하 UD)과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이하 BF)의 인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것이다. SAS 9.2(SAS Institute, Cary, NC, USA)를 이용하여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of independence),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고, 사후검정 방법으로 Scheffe’s test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도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건축학 전공학생의 BF 및 UD에 대한 인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경험이 있는 경우의 인식정도가 유의하였고, 장래희망을 설계나 건축 관련 일을 선택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학년이 높을수록, 스튜디오수업 중 관련학습경험이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상자특성에 따른 장애 경험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UD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대상자는 146명(60.8%)이었으나, BF 및 UD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88명(36.2%)으로 나타났다. BF 및 UD에 대한 인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상황 자기투영(r=0.344, p<0.001)과 도시 및 건축 환경에 대한 평가(r=0.336, p<0.001)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disability awareness in architectural students in five-year colleges in Busan based on the person’s experience with disability, and determine the degrees of recognition of and influences affecting universal design (UD) and barrier free (BF). SAS 9.2 (SAS Institute, Cary, NC, USA) was used to perform 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of independence),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Scheffe’s test was used to make post-hoc comparisons. Also,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BF and UD awareness of architectural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s with disabilities. Statistically, the awareness of those students who had selected design or architecture-related fields as their future career path was higher. There was also a tendency for the awareness of students who were further along in their studies and had more related learning experience, to seem to be high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ed from the subject’s disability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wareness of BF and UD, projecting oneself as a disabled person (r=0.344, p<0.001) and the assessment of the urban and building environments (r=0.336, p<0.001), seemed more closely correlated than that in other areas.

목차

1. 서론
2. 연구자료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지화(Jihwa Roh). (2013).건축학 전공학생의 장애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및 유니버설디자인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5 (2), 1127-1138

MLA

노지화(Jihwa Roh). "건축학 전공학생의 장애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및 유니버설디자인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5.2(2013): 1127-1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