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

이용수 189

영문명
The problems in a literary textbook and its alternative in terms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 TV series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as a topic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주현식(Hyunsik Ju) 백성혜(Seoung-Hey Paik) 오윤선(Yoonsun Oh)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6호, 309~33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융합 교육 이론에 관한 연구들은 국내외에서 다수 나왔지만,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된 적은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실현양상을 살펴본다. 이에 대한 분석과 함께 바람직한 창의융합 교육의 교수학습법에 대해 <대장금>을 대상으로 고민해 볼 것이다. 검토된 10종 교과서에서 창의융합 활동은 모두 하나 이상은 있었지만, 교과서마다 그 차이가 심하다. 이는 선택된 교과서에 따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창의융합 활동의 기회가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융합의 정도도 다른데, 이 중에서 다학문적 융합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22개, 간학문적 융합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5개가 있다. 탈학문적 접근방법의 경우 한 개의 활동도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현재 교과서에서 탈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인가? 탈학문적 접근 방법은 계획과정에서 특정 학문으로부터 시작하기보다는 오히려 실생활 맥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다른 접근 방법과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탈학문적 융합 수업의 주제로 보았다. 문제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고안하고자 텔레비전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 장금이 지닌 총명함을 인공지능의 구동수단인 추상화 관점에서 검토한다. 기존 음식 조리법과 의학적 지식을 새로운 음식 조리법과 의학적 지식으로 재공식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금의 추상화 능력은 AI의 인지적 능력에 견줄 수 있다. 그러나 장금의 창의성이 열정이라는 인성의 한 요소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은 인간과 AI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장금>의 문학적 스토리텔링과 인공 지능에 관한 과학적 담론을 가로질러 인간의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탐구함으로써, 창의성의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형성되고, 학습자들 간에 시너지 효과가 형성될 수 있다. 문학과 과학의 학문적 파편화를 넘어, 교실 내에서 배우는 지식이 사회 속에서도 소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이러한 탈학문적 융합 수업에 의해 제안된다. ‘창의융합 교육’이 실제 교과서에서나 수업에서 활발하게 구현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본고에서 보았듯이 교사가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잘 이끌어간다면, 현 교육과정 안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교사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주도할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이론적 지식 뿐 아니라 학생들의 활동을 잘 끌어낼 수 있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 함양의 중요함을 새삼 알 수 있다. 이는 교원양성기관의 예비교사교육 또는 교사 재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hile most scholars know about the theories of convergence education, efforts are underway to address their application to educational sites. This paper examines how a literary textbook currently establishes convergence education. We present the learning model of a more desirou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is examin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V series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The ten textbooks examined in this paper has more than one creative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 sum of activities in each textbook is extremely different. This difference means that students do not get equal opportunities to approach these activities. Moreover, the degree of convergence is different. In this regard, there are twenty-two multidisciplinary and five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activities in the textbooks. However, there are not any on transdisciplinarity. Now, the challenge is to identify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present textbook. The transdisciplinarity originates from not a certain discipline but real-life problems, thus marking the feature of it. This paper focuses on ‘creative thinking’ as one of the problems for addressing a transdisciplinary object. Students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with the project-based learning about investigating the intelligence of the drama protagonist, Jang Geum, in light of the abstraction in the operating syst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Jang Geum’s abstraction capability to reformulate the conventional cooking recipes and medical knowledge into new ones is similar to the cognitive ability of AI. None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humankind and AI lies in Jang Geum’s passion, as her personality supports her creativity. Thus, the exploration of creativity that traverses the literary storytelling and the scientific discourse can produce a new appraisal of the problematic concept of creativity, allowing students to do an experience of synergic learning effects among them. As a result, beyond the fragmentation of each discipline, the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suggests that the knowledge students learn in school can be applicable to real life. Although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s difficult to be actively incorporated in textbooks or school, it will be possible in the present curriculum, if teachers deeply understand educational contents and skillfully lead students’ activity in the classroom. Therefore, we can realize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grow their practical knowledge to be able to help student s activity as well as increase theoretical knowledge. This way, students can enhance their capability and be able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is practical knowledge can be achievable by restructuring the pre-teacher education or retraining incumbent teachers in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목차

1. 서론
2. 문학교과서에서의 창의융합 교육
3. AI 관점에서 본 <대장금>과 융합 교육적 함의
4. 융합교육 제재로서의 드라마 <대장금>의 교육방안
5. 결론과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현식(Hyunsik Ju),백성혜(Seoung-Hey Paik),오윤선(Yoonsun Oh). (2020).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 문화와융합, 42 (6), 309-338

MLA

주현식(Hyunsik Ju),백성혜(Seoung-Hey Paik),오윤선(Yoonsun Oh). "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 문화와융합, 42.6(2020): 309-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