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설과 영화 속 ‘빌러비드(Beloved)’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

이용수 242

영문명
The Diaspora Narrative and Music of “Beloved” in the Novel and the Movi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신사빈(Shin Sabi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5호, 89~11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니 모리슨의 후기 3부작인 『빌러비드』(1987)는 남북전쟁(1861~65) 전후를, 『재즈』(1992)는 1920년대 전후를, 『파라다이스』(1997)는 1970년대 전후를 배경으로 하지만, 모두 시대 경계를 폭넓게 넘나들면서 연결되는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디아스포라 음악을 형식 담론으로 수용하면서 디아스포라 서사와의 상호텍스트성을 구현하였다. 이렇게 백인의 주류 문화 속에서 전복적인 글쓰기 양식, 즉 흑인의 침범 문화 및 음악 형식이 등장한 것은 유의미한 실험적 서술 기법이었다. 이 글은 모리슨의 소설 『빌러비드』가 영화화 과정에서 상호텍스트성과 상호매체성을 어떻게 수행했는지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의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불가시성의 차별과 학대를 어떻게 극복하였는지를, 또 흑인 음악이 비주류에서 주류의 자리를 어떻게 차지하였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빌러비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디아스포라 메타포다. ‘빌러비드’의 디아스포라 서사 형식은 희생자 디아스포라 유형으로, 상실감과 관련된 빌러비드 문제를 외상 극복을 위한 발화 행위로 삼는 서술 기법으로 일관하였다. 그리고 ‘빌러비드’의 디아스포라 음악 내용은 아프리카의 귀환을 노동요와 필드 홀러, 영가 등 알레고리의 형태로서, 또 다른 디아스포라 음악과의 연대로서 실현한 데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다. 이는 아프리카 미국인의 디아스포라 과정에서 성조 언어의 아프리카 음악성이 선두에 서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아프리카의 이산되는 소리는 문화 혼종성을 지니면서 새로운 음악으로 탄생할 때, 인종과 종교 및 성에 의한 불가시성을 극복하는 데 큰 힘이 되었다.

영문 초록

Each of Tony Morrison’s later trilogies is set in a specific period in history: Beloved (1987) is set in the period around the Civil War (1861-1865), Jazz (1992) around the 1920s, and Paradise (1997) around the 1970s. These works, however, depict history and culture connecte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times. These works, in particular, embodied the intertextuality with diaspora narrative by adopting African-American diaspora music as a formal discourse. In this process, a subversive writing style, that is, the form of transgressive culture (music) of black people, emerged in the mainstream culture of white people, which was a significant experimental technique of driving the narrative. This article aims to study how intertextuality and intermediality were embodied in the process of filming Morrison’s novel “Belov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how African-Americans have overcome discrimination and abuse of “invisibility”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diaspora narrative and music, and how black music, which used to be non-mainstream, has entered the mainstream. “Beloved” is a metaphor for the African-American diaspora. The form of diaspora narrative of “Beloved” is victim diaspora, which maintains the narrative technique that uses Beloved’s problems arising from a sense of loss as the source of the narrative to overcome trauma. The diaspora music of “Beloved” was even more powerful in embodying the return of Africa in the form of allegory through labor songs, field hollers, and spirituals, in solidarity with other forms of diaspora music.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African musicality of langue à tons has alway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formation of African-American diaspora. When the dispersed sound of Africa was born into a new genre of music with its cultural hybridity, it helped overcome the invisibility induced by race (or religion or sex).

목차

1. 머리말: 소설의 영화화에서 드러난 성조 언어의 상호텍스트성
2. ‘빌러비드’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
3. 맺음말: 디아스포라 음악, 불가시성의 극복과 주류 문화로의 진입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사빈(Shin Sabin). (2020).소설과 영화 속 ‘빌러비드(Beloved)’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 문화와융합, 42 (5), 89-111

MLA

신사빈(Shin Sabin). "소설과 영화 속 ‘빌러비드(Beloved)’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 문화와융합, 42.5(2020): 8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