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물 소재 ‘銘’에 담긴 의미 연구

이용수 65

영문명
A Study of ‘Myeong(銘)’ on the Daily object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성훈(Kim Sung-Ho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3호, 803~83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銘은 무엇보다도 다양한 사물소재를 통해서 경계의 뜻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사물을 의인화하는 비유적 표현이 나타나는 작품이 많은데, 특히 소재로 사용되는 것들로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소재의 다양성’ 측면으로 말하자면 그 어느 문학 장르에도 뒤지지 않는 것이 ‘銘’이라는 한문학 장르이다. 그렇기 때문에 ‘銘’이라는 문학 장르에 담아낸 여러 작가들의 사물 소재 선택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특히 의인화 대상으로의 사물소재 역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의인화의 대상으로 삼은 사물로 책상, 걸상, 병풍, 의자, 이불, 장척, 술병, 벼루, 빗, 거울, 옷걸이, 솥 등 매우 다양하다. 필자는 ‘銘’을 연구 대상으로 하되, 작가들이 이러한 다양한 사물들을 소재로 취택하여 ‘銘’을 지은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물론 사물을 소재로 취택한 양상이 어떤 문학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지 반문할 수도 있겠는데, 주지하듯 사물을 소재로 한 여타 장르의 작품들이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한시에서의 사물소재는 영물시의 한 편린으로만 존재하고 있고, 작가의 개별적 상황 등에서 사물을 소재화 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별도의 장르적 의의를 추출하기는 곤란하다. 이에 비해 사물소재 ‘銘’은 창작 동기와 작가가 특정 사물을 대하는 인식이 비교적 분명하며, 마음속에 각인하여 실천으로 옮기는 효용 측면에서 볼 때 특별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물소재 ‘銘’ 작품들은 비교적 미의식이 일정하고 공통적인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는 곧 장르적 변별성으로 나타난다. ‘銘’의 특징은 무엇보다 교훈과 반성 그리고 경계이다. 이런 내용이 일견 딱딱한 훈계만으로 끝나지 않는 이유는, 간결미와 균제미가 나타난 되도록 짧고 간략하면서도 폐부를 찌르는 교훈이 담긴 것이며 무엇보다 실천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文과 行의 융합 미학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작가들이 특정 사물 소재를 취택한 양상이 명확히 드러나게 된다.

영문 초록

Myeong means border by using various kinds of materials. Myeong means border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Many works personifies materials to be all of materials that are used to be materials. Myeong of Chinese literature has variety of the material than any other literature genre. So, selection of materials of many writers is thought to be very much meaningful. Personification of materials can be various, for instance, desk, chair, folding screen, bedclothes, Jangcheok, bottle, ink stone, comb, mirror, clothes hanger and pot. The author researched Myeong to select various kinds of objects and to select various kinds of materials and to examine shape of Myeong. Of course, selection of objects may have literary value, and other genre of works may have material of object. For instance, material of Chinese literature can be a part of Yeongmulsi to materialize objects under author s situation. Sorting of genre value is difficult. Myeong of the object cognizes not only motives of creation but also cognition on specific objects. Myeong works with object material have constant aesthetic consciousness to be common and to discriminate genre. Myeong has lesson, reflection and border. Such content does not finish with admonish because of concise, symmetry, lesson, short and brief. In a word, Myeong is said to be fusion aesthetics of Mun and Haeng. Authors have selected object material clearly.

목차

1. 서론
2. ‘銘’의 개념과 사물소재 ‘銘’
3. 사물소재 ‘銘’에 담긴 의미와 효용
3.1. ‘자기성찰’과 사물 3.1.1 거울[鏡] 3.1.2 빗[梳] 3.1.3 빗자루[帚] 3.1.4 등잔[燈]
3.2. ‘선비의 일상 공간’과 사물 3.2.1 벼루[硯] 연적[硯滴] 3.2.2 책상[案] 안석[几 榻] 3.2.3 이불[衾] 베개[枕] 3.2.4 부채[扇] 거문고[琴]
4. 결론(문학적 의의를 포함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훈(Kim Sung-Hoon). (2018).사물 소재 ‘銘’에 담긴 의미 연구. 문화와융합, 40 (4), 803-838

MLA

김성훈(Kim Sung-Hoon). "사물 소재 ‘銘’에 담긴 의미 연구." 문화와융합, 40.4(2018): 803-8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