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中期 雜體詩의 창작배경에 대하여

이용수 448

영문명
Study on the Various Style Poetry(雜體詩) Creation Background in the Mid-Joseon Era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미진(Lee Mee-ji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9輯, 247~283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雜體詩는 正體詩에 비해 체재가 복잡하고 창작이 난해한 데다, 그 형태가 제각각 다르고 그 명칭도 다양하여 순정치 못하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그리하여 조선조 문단의 주류적 경향에서 다소 비껴나 있어 많은 문인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알려진 바와 달리 잡체시는 시대를 거듭할수록 지속적인 창작이 이루어졌고, 특히 조선중기를 전후하여 수량이나 형식면에서 풍부하고 다양한 잡체시가 출현하였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중기를 전후하여 잡체시 창작이 집중ㆍ확대될 수 있었던 詩史的인 배경에 주목하여 문예적 배경 탐구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조선중기 문인들의 문집 내 수록된 잡체시 작품 현황 파악을 우선으로 조선 전기 및 후기와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선중기에는 전기에 비하여 상당수의 문인들이 잡체시를 남겼으며 이러한 경향은 후기로도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조선중기는 잡체시 창작에 있어 상당히 폭넓은 문인군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각종 시체를 다양하게 구사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도 고조된 창작열로 인해 잡체시 창작이 보편화되고 전문화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의 문예적 배경으로 첫째 이전 시기 잡체시 창작 전통을 고찰해보았다. 특히 고려 승려들의 佛家 문집에는 回文詩, 層詩를 비롯한 각종 잡체시가 포함되어 있었고, 聯句詩의 경우 고려시대부터 군신간의 창작 전통이 이어져 오는가 하면, '對句놓기' '刻燭賦詩' '火繩作' 등과 같이 한시창작에 있어 문교풍속과의 유사성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두 번 째 조선중기 詩壇의 조류와의 연관성이다. 16,7세기 조선 문단은 唐詩諷 영향 아래, 古樂府를 擬作하고 漢魏古詩를 재인식하게 되면서 古樂府와 古詩에서 발원한 다양한 잡체 양식의 창작으로 이어졌다. 세 번째, 이 시기 문인들에게 기대한 다양성 추구와 표현역량의 증대와도 관련된다. 조선 중기는 壬亂및 黨爭으로 인한 격동의 시기로서 그로 인해 빚어지는 삶의 다양한 모습을 문학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인들에게 내용과 형식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였고, 이의 효과적 표현을 위해 기존의 형식 파괴와 표현력 증강을 위한 잡체시가 이 시기 시단에 활력을 불어넣게 된 것이다. 이러한 조선중기 잡체시 창작의 문예적 배경 탐구는 향후 조선시대 잡체시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고 그간 미진했던 잡체시 연구에 관심을 유도하려는 것이다. 그간 잡체시에 대한 미진한 연구가 한갓 희작에 불과하다는 선인 및 후대 연구자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외형적으로 정격이 되지 못한다는 문학성에 대한 의심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실제 문집 내 수록되어 있는 작품현황을 파악하고 그 실상에 접근하는 것이 잡체시 연구의 기본이자 핵심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re was a widespread recognition in the Joseon Era of Korea that the Various Style Poetry(雜體詩) was complex in its system and difficult to be created, compared to the regular poetry(正體詩). It was also was believed that the miscellaneous poetry varied in its form and its name and thus that it was not pure. For those reasons, the miscellaneous poetry somewhat kept distant from the mainstream trends of the literary world in the Joseon era, so did not receive the attention from many writers. However, as for the miscellaneous poetry, unlike what is generally known, its continuous creation was made over time. In particular, a variety of the miscellaneous poetry types emerged, which were rich in terms of quantity and type.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literary background focused on the poetry background that allowed the miscellaneous poetry to intensively be created before and after the mid-Jeseon era. To that end, it tried to compare the early Joeson era and the later Joseoan era by previously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miscellaneous poetry works listed in collections of works by literary men in the mid-Joeson era. The results confirmed that many of the writers left works of the miscellaneous poetry, compared to the early Joseon era and that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late Jeseon era. This suggests that the mid-Joseon era secured a fairly wide group of writers in the creation of the miscellaneous poetry and thus that in this era, such creation of the miscellaneous poetry was generalized and specialized more than ever due to highlighted passion for creation. The literary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followings: First, it is associated with the previous creation tradition of the miscellaneous poetry.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of monk literary works, written by monks in the Silla ear and in the Goryeo era of Korea, included various types of the miscellaneous poetry types such as the palindrome poetry(回文詩) and the strata poetry(層詩). As for the sentence phrasing during play (聯句詩), the creation tradition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continued from the Goryeo era, and the similarity to the educational custom in Chinese poetry, such as the rhetorical method(對句놓기), the poem creation in fixed time(刻燭賦詩), and the poem creation by the time a sting ends burning(火繩作), is also related. Secondly, it is the association with the tendency of the world of poetry in the mid-Joseon dynasty. In the literary world of the Joseon era in the 16th~17th century, since the writers imitated and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recognized the Han Wei ancient-typed poetry again. a variety of the miscellaneous poetry types continued, which had originated from the collection of Chinese poem books(古樂府) and from ancient poems(漢魏古詩). Third, it is related to the pursuit of diversity and the increased expression competence, which readers expected from the literary men at that time. The mid-Joseon ear was the turbulent times due to Japanese invasion and interparty strife. Thus, the period required poets to pursue diversity in terms of content and format to express the various facets of life appearing resulting from such turbulent times through literary. And for the effective expression of such facets, the expressive power of language was enhanced, so that the miscellaneous poetry, where existing formats were destructed and which were intended for the enhancement of expression, brought the then poetic circles excitement. The literary background of the miscellaneous poetry in the mid-Joseon era aims to arouse interest to the study on the miscellaneous poetry, which has been insufficient to date. It is pointed out that the insufficient study on the miscellaneous poetry is attributed to the negative recognition of processors of the past and researchers of future generations, who have regarded the miscellaneous poetry as mere light literature. A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문제제기
2. 잡체시 창작 현황
3. 잡체시 창작의 詩史的 배경
4. 맺음말: 남은문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진(Lee Mee-jin). (2013).朝鮮中期 雜體詩의 창작배경에 대하여. 대동한문학, 39 , 247-283

MLA

이미진(Lee Mee-jin). "朝鮮中期 雜體詩의 창작배경에 대하여." 대동한문학, 39.(2013): 247-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