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科試 箴銘頌의 형식과 문체적 특성

이용수 228

영문명
Formality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JamㆍMyeongㆍSong(箴銘頌) of State Examinatio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황만기(Hwang, ManKi)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9輯, 159~196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科擧는 인재선발시험이다. 箴ㆍ銘ㆍ頌은 과거시험과목의 하나인데, 조선 초기에 잠깐 빛을 발하다가 비인기과목으로 전락하는 수모를 당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로 문과 전시시험에서 등위를 결정하는 과목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면서 과시에서 등한시 할 수 없는 과목의 일부가 되었다. 科試에서의 箴은 주로 官箴의 형태로 지어졌으며, 군왕을 경계하고 권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銘은 군왕을 경계하는 측면과 송축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頌은 군왕에 대한 송축이 글의 주된 내용이다. 科試에서의 箴ㆍ銘ㆍ頌이 나름의 형식과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序文의 有無, 운율의 정형성, 鶴膝의 有無 등으로 나누어진다. 箴銘頌의 서문은 전체 글쓰기의 가이드 역할을 해주고 있으며, 운율은 각각의 정형성을 지니면서 운문의 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鶴膝의 유무가 글쓰기 방식을 이채롭게 할 뿐만 아니라, 운자나 내용상에 있어서도 다채로운 양상을 띠고 있었다. 鶴膝이란 먼저 3언이나 4언으로 두 구를 쓰고 그 아래 한가운데에 한 줄을 쓰는 경우를 말하는데, 학의 다리처럼 가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학슬이 없는 경우는 두 구가 한 연을 이루었으나, 학슬이 있는 경우는 학슬까지 합쳐 3구가 하나의 연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2구와 3구가 동운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학슬이 없는 경우는 두 구가 하나의 연을 이루어 다음 연의 짝수구와 서로 동운을 이루고 있는데 반해, 학슬이 있는 경우는 구 자체에 운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각 試體의 형식적 특징이 시험성적과는 무관하고, 시험성적은 응시자의 제술능력의 여하에 따라 결정되었다. 본고에서 다룬 箴銘頌 중에서 실존하는 試卷은 銘의 숫자가 가장 많고, 頌이 두 번째, 그리고 마지막이 箴이다.

영문 초록

The state examination was a test to find the bes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Jam(箴)ㆍMyeong(銘)ㆍSong(頌) were part of the subjects for the exam, and they were regarded as important for a short time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but soon became unpopular. Yet, since the middle era of Joseon, they had established themselves as deciding factor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becoming important again. Jam (箴) in the state exam was usually in the form of GwanJam (官箴), and consisted of the contents alerting and encouraging a king. Myeong (銘) had the both aspects of being wary of a king and blessing him. Song (頌) was mainly about a eulogy of a king. Jam(箴)ㆍMyeong(銘)ㆍSong(頌) of the state exam had their own forms and features,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e existence of a preface, a fixed form of rhythm, hakseul (鶴膝), and etc. The preface of JamㆍMyeongㆍSong(箴銘頌) played the roleㆍof the guidance to overall writing, and rhythm maintained the frame of a poem with formality. Moreover, hakseul(鶴膝) made writing methods more diverse, as well as their rhyming words and contents. Hakseul (鶴膝) refers to writing two phrases with three or four characters and then one line under the phrases. It was named because the lines looked thin as the leg of a crane. In case of no hakseul, two phrases formed one stanza, but when there was hakseul, three phrases including it completed one stanza. 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e third phrases usually had the same rhym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While when there was no hakseul, two phrases made one stanza and created the same rhyme with the even phrase of the next stanza, the phrases themselves had rhymes when there was hakseul. However, the formal features of each poetry style had nothing to do with the exam results, which were determined by an applicant's writing ability. Myeong (銘) had the largest number of the existing test papers in this study, followed by Song(頌) and Jam(箴) in that order.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문체로서의 箴銘頌
3. 科試에서의 箴銘頌
4. 科試 箴銘頌의 문체적 특징과 실재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만기(Hwang, ManKi). (2013).科試 箴銘頌의 형식과 문체적 특성. 대동한문학, 39 , 159-196

MLA

황만기(Hwang, ManKi). "科試 箴銘頌의 형식과 문체적 특성." 대동한문학, 39.(2013): 159-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