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科賦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

이용수 760

영문명
Forms and Styles of Bu(賦)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강석중(Kang, Seokju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9輯, 47~82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高麗 시대 科擧制가 실시된 이래 甲午更張으로 과거제가 폐지될 때까지 과거는 지속적으로 시행되었으며, 과거를 통하여 역대의 문인들은 그들의 문학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역대의 과거에서 가장 중요시되어 평가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창작의 능력이었다. 고려시대의 進士科와 조선 시대의 進士試, 文科의 中場에서는 모두 賦를 짓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이때 지어져 답안으로 제출된 작품이 科賦이다. 科賦는 한 가지 형식으로 고정되어 변함이 없이 유지되지 않고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그 형식을 바꾸어 갔다. 이에 따라 고려시대 과거제가 처음 채택되었을 때에는 형식적 측면에서 문학적 역량을 가장 종합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양식인 律賦가 科賦로 제시되었다. 충목왕 때에 율부 대신 古賦를 科賦로 과시하였고, 조선조에 들어서서도 계속하여 古賦를 科賦로 과시하였다. 科賦 자체는 제목이 주어지는 데다가 선발 시험의 답안지라는 공식적인 목적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작가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科賦의 제작을 연습하고, 과거 급제 후에도 月課로 賦를 계속 지어내는 과정에서 닦인 문장력은 작가의 다른 문학세계에서 드러날 수 있었다. 조선 후기가 되면서 科賦는 韻을 달지 않고 六言句로만 이루어진 형태로 바뀌어 賦형식을 포기한 것으로 변화하였다. 조선 전기까지의 科賦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문학적 특성을 잃지 않고 있는 것에 비해 이는 최소한의 문학적 장치마저 벗어버린 것이 되었다.

영문 초록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first administe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continued until Gabo(甲午) Reform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it was officially abolished.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he official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the ability of creative composition, and the literati during the mean time could show their literary talent in the examinations. Jinsa(進士) Exam in the Goryeo Dynasty and Jinsa Exam and Second Exam for the Civil Po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all asked the applicants to compose bu, and the pieces submitted as answers were bu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ms and styles of bu were not maintained unchanged, and changed with the elapse of time. That is, when bu was first selected for the examination in the Goryeo Dynasty, applicants were asked to compose yulbu(律賦) through which their literary talent was comprehensively tested.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mok, gobu(古賦) replaced yulbu for the examination, and this tradition continued o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primary goal of bu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to select successful candidates for the government positions, and since the title for each bu was given for the examination,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for the applicants to display their literary imagination. However, when they practice composing bu for the examinations, and continue to compose bu as monthly assignments even after they passed the examination, literati could enhance their literary ability to be displayed in their works in other gen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gave up the rhyming characters and changed into simple six-character-phrase format. Accordingly, 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lost the minimally required form for the literary works unlike those of early Joseon Dynast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고려 시대의 科賦 - 律賦의 채택과 古賦로의 전환
3. 조선 전기의 科賦 - 古賦의 시험과 형식의 다양화
4. 조선 후기의 科賦 - 부형식의 해체와 程式의 성립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석중(Kang, Seokjung). (2013).科賦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 대동한문학, 39 , 47-82

MLA

강석중(Kang, Seokjung). "科賦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 대동한문학, 39.(2013): 4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