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 자료를 고민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이용수 0
- 영문명
- Daycare teac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focused on play material sele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고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4호, 415~4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영아반의 놀이 자료의 활용을 고민하며 이에 대한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S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1, 2세반 교사 4명과 촉진자로 연구자가 참여한 원내 공동체를 구성하여, 5회기의 학습공동체를 진행하였다. 학습공동체 1회 운영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질적분석을 위하여 학습공동체 전사본, 참여자 개별인터뷰 전사본과 반성적 저널, 연구자 노트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공동체의 참여 경험은 ‘영아반 교사 역할에 대한 허상 깨뜨리기’, ‘영아 놀이에 대한 관점 변화’, ‘놀이 자료 활용의 재발견’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현장에서 동일한 고민을 가진 영아반 교사들로 원내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그 세부 분야에 전문가가 포함된 공동체로 운영하여 반성적 실천을 통해 영아반 교사 전문성을 함양하고 새로운 앎을 적용하는 실천학습공동체의 가치가 드러났다. 더불어 놀이 자료 뿐 아니라 영아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 수정과 영아의 유능감을 경험하며 놀이를 바라보는 관점에도 성찰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cultivate teacher expertise while considering use the play materials in daycare center toddler classes. To this end, an internal learning community was formed, involving researchers acting as facilitators and four teachers from the first and second toddler classe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S City. Five learning community sessions were conducted, each lasting approximately 1 hour and 30 minutes. For qualitative analysis, data sources included transcripts of the learning community sessions, transcripts of individual participant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researcher not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was categorized into “breaking the illusion of the toddler class teacher”, “change of perspective on toddler play”, and “new discoveries on play materials”. This study highlights the value of an internal learning community, composed of toddler class teachers with shared concerns and facilitated by experts in the field. The community served as a platform for reflective practice, fostering professional growth and the application of new knowledge to support teacher expertise in toddler care and play material us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검사 도구 타당화
- 영아반 교사의 메이커 디지털 기술인 3D 프린터 활용 놀이지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 디지털 윤리 교육내용 구성 방안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메타인지 전략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과 연계한 수학 놀이 경험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컴퓨터 상호작용(CCI)과 대화형 AI에 대한 교육적 고찰
-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이해자료에 제시된 놀이 분석과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한 제언
-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 잠재유형 및 예측요인
- 디지털을 연계한 예술경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놀이 자료를 고민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 빈곤가정 부모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 중재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반 유아의 코딩로봇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유아의 쓰기 경험 탐색
- 유아 STEAM 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의 AI 활용 인식과 현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유아의 성평등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젠더에 대한 이해 탐색
- 보드게임의 유아 수학 교육 활용 연구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테크노 대처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