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 잠재유형 및 예측요인
이용수 0
- 영문명
- Latent class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related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노보람 박새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4호, 317~3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의 다양성에 초점을 두어 이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유형 구분에 교사의 디지털 역량, 디지털 역량 교육경험, 교육경력, 그리고 기관의 미디어 환경이 관련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1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은 5개 집단(통합형, 심리적역량우세형, 실제적역량우세형, 과도기형, 놀이지원곤란형)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예측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역량우세형을 준거집단으로 설정하였을 때, 예측요인으로 설정된 네 요인(교사의 디지털 역량, 디지털 역량 교육경험, 경력, 기관의 미디어 환경)이 집단 분류와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에서 다양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focused on the diversity of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i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lassified them into distinct categories. It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ategories and factors such as digital competency, digital competency training, teaching experience, and the institutional media environment. To achieve this, data from 21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the Jeonbuk province were collected and used for latent class analysis (LC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Integrated, Psychological Competency-Dominant, Practical Competency-Dominant, Transitional, and Play Support Difficulty. Additionally, all four predictive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oup membership, with the psychological competency-dominant typ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diversit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i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design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검사 도구 타당화
- 영아반 교사의 메이커 디지털 기술인 3D 프린터 활용 놀이지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 디지털 윤리 교육내용 구성 방안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메타인지 전략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과 연계한 수학 놀이 경험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컴퓨터 상호작용(CCI)과 대화형 AI에 대한 교육적 고찰
-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이해자료에 제시된 놀이 분석과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한 제언
-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 잠재유형 및 예측요인
- 디지털을 연계한 예술경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놀이 자료를 고민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 빈곤가정 부모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 중재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반 유아의 코딩로봇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유아의 쓰기 경험 탐색
- 유아 STEAM 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의 AI 활용 인식과 현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유아의 성평등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젠더에 대한 이해 탐색
- 보드게임의 유아 수학 교육 활용 연구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테크노 대처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