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35
- 영문명
- Exploring the digital divid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digital information level, digital social capital, and digit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83~11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격차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를 담당하는 유아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통계분석,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은 교사의 근무 기관 유형, 연령, 경력 등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아교사의 모바일 디지털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 사회적 자본 수준이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digital divid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ir digital information levels, digital social capital, and digital competence, along with the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identified key predictors of digital compete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0 teacher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digital social capital, and digital competence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ype of institution, age, and years of experience. Furthermor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digital information levels, digital social capital, and digital competence, with the ability to use mobile digital devices and the level of digital social capital emerging as key predictors of digital competenc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how to support the reduction of the digital divide and enhance digital competen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