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152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AI-based early childhood and play-centered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성주 오아름 김유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173~1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 한 교사의 사례를 탐색함으로써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도 C시에 소재한 공립 단설 마음유치원의 만 5세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6월 1주부터 9월 4주 중 여름방학 기간을 제외한 12주 기간 동안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A교사는 동료들과 함께 AI 활용 유아교육의 본질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둘째, A교사는 AI 매체나 콘텐츠에 대한 탐색과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들에게 적절한 매체와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해 동료교사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준비’하고 있었다. 셋째, A교사는 유아들과 AI 로봇의 상호작용 안에서 유아기 AI 로봇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사회적 의의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teachers in the AI-based children and play-centered curriculum by examining the case of a teacher who operated an AI-based children and play-centered curriculum.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12 weeks from June 1 to September 4, 2023, excluding the summer vacation period, from the homeroom teacher of a 5-year-old class at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C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AI-based children and play-centered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A constantly deliberated over the nature of AI-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colleagues and operated an AI-based children and play-centered curriculum. Second, Teacher A was continuously ‘preparing’ with fellow teachers to ‘support’ appropriate media and contents for children based on the search and understanding of AI media and content.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er A was experiencing the necessity of AI robot ethics education in infancy in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AI robo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and social significance for the role of teachers in the operation of AI-based children and play-centered curriculu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