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이용수 65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AI education and us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언경 김주영 박현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115~1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는 데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설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공․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포함하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AI에 대해 낮은 인식을 나타냈고, AI 교육의 속성과 교육적 활용 목적의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지만, 수행도가 그에 미치지 못했다. 또한 AI 교육 및 활용의 수용에 있어 우려와 불안을 가지고 있었지만,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AI 교육 및 활용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둘째, 과반 이상의 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AI 교육 및 활용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AI 활용에 있어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유치원 교사들은 AI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 교육 현장에서의 서비스 이용 어려움을 제시했고, AI 활용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된다면 교육 현장에서 AI를 활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AI 활용을 위한 정보를 주로 교사 교육 및 연수를 통해 수집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 AI 교육 및 활용을 위한 지원 방향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AI education and use. A questionnaire was creat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Looking at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low awareness of AI, and al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nature of AI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of educational use,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not up to that level.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concerns and anxiety about AI education and use, they express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I education and use. Second, more than half of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in teaching or using AI in kindergarten in their classrooms, and recognized the high teacher-to-child ratio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using AI. In addition, they suggested difficulties in using services in the educational field as a reason for not using AI, and responded that they would use AI if they become more aware of its necessity of using AI. Teachers primarily gathered information about using AI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iscuss support directions and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kindergarten AI education and us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