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이용수 59
- 영문명
- Analysis of ethical issues in digital media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양수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215~2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무분별한 디지털 활용이 이루어지면서 디지털 윤리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해짐에 따라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디지털 윤리 개념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를 1, 2차에 걸쳐 분석하였다. 1차 분석은 연구자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 장면을 관찰하여 사례를 분석하였고, 2차는 델파이 조사기법을 활용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교육에 활발히 활용하는 현장전문가 6인을 선정하여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였다. 이후 삼각 검증법을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결과를 종합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윤리 개념을 디지털 시민정체성, 디지털 시민의식, 디지털 양면성 수용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각 개념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유아, 교사와 부모 대상 교육 및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 개발자를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thical issues of digital media for young childre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s the indiscrimination use of digital media has led to serious societal digital ethics problems. To this end, digital ethics concepts were distinguished into digital citizen identity, digital citizenship, and accepting digital ambivalen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ethical issues of digital media for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in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researcher observed and analyzed scenes of young children using digital media in education settings. In the second phase, six field experts who actively use digital media in education were selected for the Delphi survey technique, and their expert opinions were analyzed. Afterwards,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verified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and the results were synthes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digital ethics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digital citizen identity, digital citizenship, and accepting digital ambivalence, and ethical issues for each concept were presented.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guidelines for educating you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as well as for developers of digital media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