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7
- 영문명
- The effect of chines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푸한쉬안 조부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온라인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중국 J성 J 대학교 예비유아교사 46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기초로 수정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뒤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수업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기술, 지식, 태도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을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보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중요하며, 특히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9 chines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 University, located in J Province, Chin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including subfactors such as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hich encompasses cognitive regulation,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Thir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a greater impact on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than digital literacy. In conclusion, both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re importan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articularl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o improve their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