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41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창숙 김성미 신수진 박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명화감상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학술지와 석․박사 학위논문 중 64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한 후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명화감상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1.89로 큰 효과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는 신체능력 발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명화감상교육 통합활동 교과영역 중 예술과 통합한 교과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는 집단 구성의 경우 대집단, 실험처치 기간이 10주 이상, 실험처치 횟수는 5~10회 이하, 주당 실험처치 횟수는 주 1회, 실험처치 시간은 회당 51~60분, 명화감상 작품 수는 6편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교육의 효과를 증명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명화감상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lementing effectiv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such program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For this purpose, 64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education for children was 1.89, indicating a very large effect. Second,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was highest for physical ability development. Third, regard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st effect size was observed for activities integrated with art, specifically within the domain of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nd integrated activities.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was highest when the group composition was large, the experimental treatment period was ten weeks or longer,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s was five to ten or fewer, the frequency of treatments per week was once, the duration of each treatment session was fifty-one to sixty minutes, and the number of artworks viewed was six or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lementing effective art appreciation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