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58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playfulness, sensitivity,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rough the medium of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박비둘 김경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3호, 27~5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1세, 2세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영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G광역시와 J도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세, 2세 담임교사 385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0.0,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성은 민감성, 놀이지원역량을 매개로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이루기 위해서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아교사는 영아와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위해 자신의 성향을 잘 파악하여 창의적인 놀이지원의 다양한 형태를 개발하고 영아교사의 신념과 기대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이는 영아보육기관 내에서의 영아교사들의 모임 구성과 지속적인 성장 및 학습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sensitivity,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with daycare center teachers of one- and two-year-olds and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ensitiv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 research subjects were 385 teachers of one- and two-year-olds from G city and J province daycare cen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0.0, AMOS 20.0 software. As a result, first, infant teachers’ playfulness, sensitiv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Second, infant teachers’ playfulnes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rough the medium of sensitiv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infant teachers’ interactions are important to help improve infants’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infant teachers are required to identify their predispositions and develop various forms of creative play support for meaningful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exchange feedback with their beliefs and expect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engaged in infant care institutions to form teacher-learning communities and to allow them consistent growth by offering them proper learning opportuniti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교사의 AI 기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유아 대상 디지털 미디어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격차 탐색: 디지털 정보화 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역량을 중심으로
-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