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 마이데이터에서 기본권 침해의 헌법적 검토
이용수 0
- 영문명
- Constitutional Review of Violations of Fundamental Rights in Medical MyData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김민우(Min-Woo Kim)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第30卷 第4號, 343~37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의료정보의 접근 방식이 기술과 데이터의 결합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보건의료의 목적인 건강 보호 및 증진, 질병 치료를 위한 접근 방식이 기술과 데이터의 결합으로 인하여 원하는 의료서비스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의료데이터의 공유와 활용이 중요해지면서 의료정보의 권한이 정보주체인 개인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의료 마이데이터 산업이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처럼 의료 마이데이터는 의료정보의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개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의료법이 개정되면서 진료기록을 이전받거나 제3의 의료기관에 직접 전송을 요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의료 마이데이터는 앞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 그에 비하면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따른 법적 검토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그동안 개인정보를 수집한 기업들은 자신들의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수익을 창출해 왔는데, 의료 마이데이터의 도입이라는 법적 불확실성에 놓여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의료 마이데이터 산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 기본권 보장 문제, 이익 배분의 문제, 다른 법령과의 충돌에 따른 법적 검토를 하였다. 또한 의료 마이데이터에서 데이터 시대의 환경에 부합하는 기본권 보장의 실현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approach to medical information is rapidly chang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data. This change means that the purpose of healthcare, which is to protect and promote health and treat diseases, can provide or utilize information for desired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data. In particular, as the sharing and utilization of medical data become more important, the medical MyData industry, which emphasizes that the authority over medical information lies with the individual as the information subject,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for data utilization. In this way, medical MyData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while strengthening the rights of the information subject to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Recently, with the revision of the Medical Act, it has become possible to transfer medical records or request direct transmission to a third-party medical institution. In this respect, medical MyData is expected to make great strides in the future, but compared to this, legal review of the introduction of medical MyData is still insufficient. As a result, companies that have collected personal information have been generating data revenue through their own platforms, but are facing legal uncertainty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medical MyData.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ducted a legal review of the issues of guaranteeing basic rights, profit distribution, and conflicts with other laws for the sustainable and stable growth of the medical MyData industry. In addition, it suggested a way to realize guaranteeing basic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data era in medical MyData.
목차
Ⅰ. 서론
Ⅱ. 의료 마이데이터의 개념과 배경
Ⅲ. 의료 마이데이터의 입법 현황
Ⅳ. 의료 마이데이터의 기본권 보장과 한계
Ⅴ. 의료 마이데이터에서 기본권 보장의 실현 방안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헌법의 기능과 개헌의 과제
-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관한 몇 가지 의문
- 과학기술의 발전 및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ㆍ사회의 연대
- 헌법 제7조의 기존해석에 대한 반론 - 공무원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의 제한논거로서 “국민전체의 봉사자”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국가와 국민의 인권 - 제3세대 인권을 중심으로
- 독일의 기본권 제3자효(대사인효) 이론과 판례의 전개양상 - 사인과 국가의 삼각관계, 기본권 보호의무 및 보호청구권
- 온라인플랫폼 규제 철학 및 방법 비교 연구 - EU 디지털서비스법ㆍEU 시청각미디어서비스지침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한 정보주체 권리의 실효적 보장 방안 - 「개인정보 보호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의료 마이데이터에서 기본권 침해의 헌법적 검토
- 간접고용 근로자의 단체교섭권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치적 양극화와 대의민주주의 기능 회복
- 비례성ㆍ대표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선거제도 개선의 한계 및 평가
- 국회 입법영향분석 제도화의 맥락과 방향
- 예산법률주의와 재정준칙의 헌법적 수용에 대한 재정헌법적 고찰
- 법률안거부권과 탄핵소추권을 중심으로 본 권력충돌과 헌법상 강경책
- 군 사법제도 개혁의 평가와 개선방안
- 선관위의 헌법상 지위에 비추어 본 감사원의 직무감찰 대상 여부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의 인권 - 부산광역시인권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