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정기본법 및 기타 법령상 이의신청제도와 그 개선방향
이용수 4
- 영문명
- Civil Objection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other Acts and its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한국행정법학회
- 저자명
- 박훈민(Hun-min PARK)
- 간행물 정보
- 『행정법학』제27호, 329~36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행정기본법」 시행에 따라 새롭게 바뀐 제도와 행정법의 기본법으로서의 역할 등이 주목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동법 제36조상의 이의신청에 대한 평가와 논의 역시 진행되고 있다. 「행정기본법」 상의 이의신청 제도에 대하여 그동안 우리 행정법학계의 노력으로 법치행정 및 행정쟁송체계를 구축하여 온 것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으나, 반대로 그 실용성에 주목할 수도 있다.
즉, 그동안의 행정쟁송제도는 정식의 사법절차인 행정소송과 헌법에 따라 준사법절차화가 강제된 행정심판으로 양분되고 있었으나, 처분청 등 행정청이 스스로의 판단을 다시 확인하는 성격의 절차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각종 사회보장의 확대에 따라, 또한 자동적 처분제도의 도입에 따라 처분청에 속하는 공무원이 사실상 처음으로 이미 발령된 처분의 적법성 및 적절성을 (다시)판단하게 할 필요가 늘어나고 있다.
비교법상으로로도 처분청이 다시 판단하도록 하는 넓은 의미의 ‘이의신청’에 상응하는 제도가 여러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이의신청제도의 실무상 필요성을 입증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행정기본법」상의 이의신청 제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개별법률 상의 이의신청 제도와의 관계 등 조문상 명확하지 아니한 부분들이 남아있는 것은 한계로 지적되기에 충분하다. 특히 개별법률에서는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에 해당하면서도 이를 다른 용어로 사용하거나, 특별행정심판에 해당하면서도 ‘이의신청’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나아가 「민원처리법」 상의 이의신청 제도와 「행정기본법」 상의 이의신청 제도 사이에서 우선적용여부, 제소기간 연장효과의 적용여부 등도 최종적으로는 입법을 통하여 명확히 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행정기본법」상의 이의신청 제도는 제도 그 자체의 의미도 있지만 이를 바탕으로 개별 법률에서의 제도 정비로 이어져야 할 것을 보인다.
영문 초록
As enforcement of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ts Art.36 Civil Objection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System has important in Korean Legal System. In consequence of comparative legal research, it become clear that many countries - Germany, France and Dutch- have similar scheme for Civil Objection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However in Korean legal System, Systemic Contradiction between provision for Civil Objection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should be resolved. Not only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but also Civil Petitions Treatment Act has general clause for Civil Objection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System.
Nonetheless provisions for Civil Objection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two Acts is discrepant. Priority order in application of laws, Extension effect of period for filing lawsuit are still debatable. It’s even more confusing in legal terminology and provision of Other Law and Regulations. These require a solution which is a clarifying statutory amendmen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현행법상 이의신청제도에 대한 검토
Ⅲ. 행정기본법상 이의신청 제도 관련 평가와 문제점
Ⅳ. 행정기본법 및 타법률에서 이의신청제도 관련 개선 방향
Ⅴ. 나가며 그리고 나아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은 행정에 대한 시간적ㆍ공간적ㆍ상황별 검토와 좋은 행정규제
- 의무이행소송의 도입 필요성과 법제화 방향
- 법관의 재판에 대한 국가배상책임
- 토론문
- 국가적 이익의 관점에서 본 새만금지역 관할구역 결정
-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정립의 기본방향
- 행정기본법의 개정방향
- [토론문] 『행정기본법의 개정방향』에 대하여
- 행정기본법 및 기타 법령상 이의신청제도와 그 개선방향
- [토론문] 『행정기본법 및 기타 법령상 이의신청제도와 그 개선방향』에 대하여
- [토론문] 『「행정기본법」 및 「행정절차법」상 신고절차의 통합방안』에 대하여
- 신고법제에 있어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
- 정당현수막 설치ㆍ관리 사무와 관련된 조례의 적법 여부
- 새만금 지역의 관할구역 결정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 「경찰관 직무집행법」상 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 경찰책임자에 대한 구상권 행사를 포함하여
- 행정법학 제27호 목차
- 발간사
- Brexit 이후의 영국 공공조달법제 연구
- [토론문] 『법관의 불법행위 책임에 관한 판례의 문제점』에 대하여
- 토론문
- 토론문
- [토론문]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정립의 기본방향』에 대하여
- [토론문]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의 관계정립의 기본방향』에 대하여
- [토론문] 『행정기본법의 개정방향』에 대하여
- [토론문] 『「행정기본법」 및 「행정절차법」상 신고절차의 통합방안』에 대하여
-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계 재정립의 방향
- 행정소송제도의 개혁 방향
- [서평] Eberhard Schmidt-Aßmann, Verwaltungsrechtliche Dogmatik in der Entwicklung(Mohr Siebeck, 2023)
- [보고] 한국행정법학회 제62회 학술대회 성과 보고
- [보고] 한국행정법학회 제63회 학술대회 성과 보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