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이용수 153
- 영문명
- Research on the Use of Generative AI for Korean Writing Strategy Educatio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선중(Sun-joong Lee) 황성은(Shung-eun Hw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1輯, 463~4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의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쓰기 교육에서 쓰기 전략의 개념과 교육 내용에 대해 밝히고 그에 따른 생성형 AI에 대한 전략으로서 가치를 평가했다. 현 시대의 생성형 AI가 가지는 한계를 명확히 파악한다는 전제하에 생성형 AI를 쓰기 전략 교수-학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음을 주장했다. 본고는 생성형 AI이 쓰기 전략 교수-학습에 있어 가치가 있음을 밝히기 위해 교육 분야에서의 생성형 AI 활용과 관련된 연구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글쓰기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들을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글쓰기가 막을 수 없는 시대의 흐름임을 파악할 수 있었고 따라서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론의 변화와 글쓰기 교육에서 전략 교육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따라서 쓰기 교육 연구 역시 교육 현장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 교육적으로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안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전략을 교육하는 데 있어 가능한 접근법을 쓰기 교육 단계에 맞춰 ‘전-중-후’로 나누어 제시했다. 쓰기 전 단계에서는 ‘주제 선정하기’와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 고려하기’ 전략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롬프트 작성법에 대해 제안했다. 쓰기 단계에서는 실제 수업 시간에 활용된 방안을 소개하는 것을 통해 ‘쓰기 모니터링하기’와 ‘조정 기술 사용하기’ 전략의 학습이 가능한 생성형 AI 활용법에 대해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쓰기 후 단계에서는 글의 응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다만 본고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데에는 본 연구에서 삼은 교육 대상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이기 때문이다. 유학생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있으며, 따라서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쓰기 교육과는 교육 목적에 차이가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는 합목적성과 그에 따른 장르적 지식이 명확하게 제시된다. 따라서 모어 화자 대상의 글쓰기 교육과는 접근이 다를 수밖에 없다. 즉, 생성형 AI를 활용한 쓰기 전략 교육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기에 앞으로도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교육 방법론적 발전이 요구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lan for teaching Korean writing strategies using generative AI. To this end, the paper clarifies the concept and content of writing strategies in writing education and evaluates the value of generative AI as a strategy. Based on the premise of fully understanding the limitations of current generative AI, it argues that using generative AI as a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writing strategies has educational value. To demonstrate the value of generative AI in teaching writing strategies, this paper reviews research related to the use of generative AI in education and studies related to writing using generative AI. Through these studies, it was recognized that writing using generative AI is an inevitable trend in the current era. Therefore, th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changes in strategy education in writing instruction brought about by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I are natural phenomena. Accordingly, this paper confirms the necessity for writing education research to propose methods that help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produce educationally valuable outcomes using generative AI in educational setting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possible approaches to teaching strategie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writing,” “during writing,” and “post-writing.” In the pre-writing stage, the paper proposes prompt-writing techniques that help in learning strategies such as “selecting a topic” and “considering approaches to the topic.” In the writing stage, it introduces methods utilized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to suggest ways to use generative AI to learn strategies like “monitoring writing” and “applying adjustment techniques.” Finally, in the post-writing stage, the paper discusses ways to enhance the coherence of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rgument for the feasibility of using generative AI in Korean writing strategy education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udy targets foreign learner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are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thus, the educational objectives differ from those of writing education for native Korean speakers.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ers clearly presents purposes and the corresponding genre knowledge. Therefore, the approach differs from that of writing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In other words, there are clear limitations to using generative AI for teaching writing strategies, and continuous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corresponding pedagogical developmen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쓰기 전략과 생성형 AI
3. 생성형 AI와 글쓰기
4.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어와 문어의 구분에 대한 일고찰 - 디지털 언어 콘텐츠 구분의 용이함을 위하여
- 1910년대 천안 지역 『조선지지자료』의 지명에 대하여
- Chosŏn Echoes of Tang Poetry : Translating Yi Tal's Hansi into English
- 강원도 절기(節妓)에 대한 기록과 기억 - 영월의 경춘(瓊春)과 춘천의 전계심(全桂心)을 중심으로
- <임경업전>의 비판의식 연구
- 한시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적용과 한계
- 정석교 시의 장소성과 서정적 리얼리즘
-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나타나는 ‘아이다움’에 관한 연구
- 손창섭 문학의 자연주의적 고찰 - 장편소설 <길>을 중심으로
- 김기택 시의 동물 재현과 윤리적 지향
- 송영 소설에 나타난 감옥의 기능과 의미
- 엄흥섭 소설에 나타난 젠더 감성과 그 역학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리포트 분석을 통한 ‘인용하기’의 실상 고찰
- ‘느릐다’, ‘늦다’, ‘더듸다’의 의미 변화 연구
- AR(증강현실)을 활용한 고전소설 콘텐츠 개발 연구 - <심청전>을 중심으로
- 4·19와 쓰기의 존재론 - 1960년대 최인훈·이청준 장편소설의 ‘서술 시점’을 중심으로
- 웹소설 산업화에 대응하는 웹소설 교육과 학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