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엄흥섭 소설에 나타난 젠더 감성과 그 역학

이용수 172

영문명
Gender sensibility and its dynamics in Eom Heung-Seop’s novel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최병구(Byoung-goo Choi)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1輯, 399~42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30년대 전반기 엄흥섭 소설이 식민지 자본주의 재생산구조에 나타난 젠더 위계를 상대하고 있는 전략을 살펴보았다. 프로문학사에서 1931년 『군기』사건으로 카프에서 제명당했다고 간단히 알려진 엄흥섭은 카프 가입 이전부터 지역 문단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식민지 대중의 삶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이는 카프 가입 이후 발표된 소설에서 가정과 여성 노동이 자본주의 재생산구조의 위계화와 맺는 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먼저 주목되는 것은, 가정에서 돌봄 노동을 수행하는 직업을 다룬 소설이다. 오마니, 행랑어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 여성들은 근대적 계약 관계로 맺어진 노동자였으나 주인에게 전근대적 대우를 받았으며 순결한 가정을 오염시키는 존재로 취급당하기도 했다. 엄흥섭은 부부의 불륜과 유모의 노동자화를 보여주며 이러한 당대의 표상을 뒤집는다. (「유모」, 「좀 먹는 단층」) 두 번째로 카페 여급을 중심에 놓는 소설이다. 1930년대 카페 여급은 소비문화의 상징이자 성적으로 타락한 존재로 취급당했다. 카페 여급은 가난한 여성이 독립된 존재로 살아가기 위한 유일한 길이었으나 남성적 시선에 의해 성적으로 규정된 것이다. 엄흥섭은 이러한 남성의 시선이 얼마나 폭력적인지를 보여주며 여성/남성의 위계를 뒤집는다. ( 「순정」, 「윤락녀」) 연애와 감정이란 소재를 활용한 엄흥섭 소설의 이러한 특징은 193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가속화되면서 통속소설이란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제국 일본의 검열을 의식하면서 식민지 자본주의 재생산구조의 위계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되새겨질 필요가 있다. 카프의 주변으로 알려진 엄흥섭 소설의 이러한 특징은, 식민지 자본주의의 핵심을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좀 더 많은 작가로 확장되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strategies used in Eom Heung-Seop’s novels from the early 1930s to address gender hierarchies within the reproductive structure of colonial capitalism. Eom Heung-Seop, who is briefly mentioned in the history of proletarian literature fro being expelled from KAPF due to the 1931 'Kun-Gi’Incident, was actively involved in local literary circles even before joining KAPF. He showed a deep interest in the lives of the colonial masses. This interest continued in his novels published after he joined KAPF, where h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life, women's labor,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s of capitalist reproduction. The first noteworthy aspect is the novels that deal with professions involving care labor within the household. Women referred to by various names such as 'Omani' and 'Haengnang-eomeom' were workers bound by modern contractual relationships but were treated in a pre-modern manner by their employers and often regarded as contaminating the purity of the home. Eom Heung-Seop subverts contemporary representations by depicting the infidelity of a married couple and the proletarianization of a nanny. (in 'The Nanny' and 'Jom Meok-neun Dan-cheung'). Secondly, there are novels focusing on female café workers. In the 1930s, café waitresses were seen as symbols of consumer culture and were regarded as sexually immoral beings. For impoverished women, working as a café waitress was often the only path to independence, yet they were sexually defined by the male gaze. Eom Heung-seop illustrates how violent this male perspective can be and overturns the hierarchy between women and men (in 'Pure Love' and 'Sex Worker'). This characteristic of Eom Heung-Seop's novels, which utilizes the theme of sexual desire, became more pronounced towards the late 1930s, leading to criticism as popular fiction. However, in light of the censorship imposed by Imperial Japan, it effectively expose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olonial capitalism's reproductive system, making it necessary to reevaluate its significance.

목차

1. 카프(KAPF)의 재인식을 위한 틀
2. 자본주의 재생산을 위한 ‘가정’에 대한 인식과 전도
3. 남성/여성 노동의 가치와 윤리 의식의 전도
4. 카프의 정치, 통속의 정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구(Byoung-goo Choi). (2024).엄흥섭 소설에 나타난 젠더 감성과 그 역학. 어문연구, (), 399-426

MLA

최병구(Byoung-goo Choi). "엄흥섭 소설에 나타난 젠더 감성과 그 역학." 어문연구, (2024): 399-4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