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송영 소설에 나타난 감옥의 기능과 의미
이용수 168
- 영문명
-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prison depicted in novels by Song Yeong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조문형(Moon-hyung Cho)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1輯, 367~3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법의 상상력은 인간의 정치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사회 질서 기틀 확립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문학과 법은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상상하며 보편적 기준과 정서를 마련해나간다는 점에 있어 공통점을 갖는다. 이 점을 기반으로 소설 속에 사회적 정의(正義)에 대한 고민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살피는 데 있어서 ‘감옥’은 하나의 중요한 수단이 된다. 특히 작가 송영의 경우, 개인사적인 문제로 탈영하며 군 교도소에 수감하는 경험을 하게 됨으로써 그의 소설에는 감옥에 대한 묘사가 적잖게 등장한다. 1970년대는 아직 법 제도에 대한 인식이 미숙한 상황이었으므로, 감정적이거나 도리적인 수준의 사회적 인식이 팽배한 사회에 가까웠다. 때문에 개인적 정의를 회복하고 사회를 구원시키는 수준의 정의사회 구현 등의 초보적 인식이 주를 이룸으로써, 감옥은 이를 실현시키는 하나의 수단 정도로 이해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송영 소설에 나타난 ‘감옥’ 공간은 절망적 뫼비우스 띠의 발현 공간으로 그려진다. 소설 속 인물들은 감옥을 자기 정당성의 소통 공간으로 활용하려 하지만, 감옥은 실질적으로 새로운 질서와 규율을 요구하는 공간인 동시에 부조리한 현실의 폭로 공간이 되어, 절망적인 결말의 공간이 될 뿐이다. 송영 소설의 인물은 감옥이라는 새로운 세상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질서 체계를 따르며, 또 다른 부조리 공간에 맞닥뜨리게 된다. 감옥의 공간에서 수감자들에게 요구되었던 사회적 정의 인식의 재건은 감옥 내부의 부조리 속에서 억울함으로 인해 좌절된다. 송영 소설 「당신에게 축복을」, 「선생과 황태자」, 「님께서 오시는 날」 세 작품의 결말은 절망적 암시를 보이는데, 이 작품들에 등장한 인물들은 감옥 안에서 절망 이상으로 좌절한다. 이는 절망적 뫼비우스 띠의 발현 공간으로서 감옥이 기능하는 것이며, 1970년대 사회의 부조리상을 극명하게 나타내는 수단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imaginative power of law serves as a foundational pillar for establishing social order, originating from the realization of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our humanity. Both literature and law share a common thread, in which they conjure various unfolded situations by establishing universal norms and emotions. With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prison’ becomes a crucial tool to explore the portrayal of social justice in novels.
Descriptions of the prison have been frequently delved by Author Song Yeong’s novels, because Song Yeong himself was confined in a military guard housedue to his personal circumstances. During the 1970s, legal awareness remained underdeveloped, and societal consciousness was often driven by emotions and morality. Consequently, the initial understanding of justice focused on restoring personal rights and rescuing society. Hence, the prison was considered merely as pragmatic tool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However, in Song Yeong’s novels, the space ‘prison’ was described as a despairing space trapped in a Möbius strip. Characters in the novels strive to assert their legitimacy and attempt to utilize the confined prison for communication space. Yet, prisons demand adherence to new orders and rules, simultaneously revealing the absurdities of reality, eventually turning into a space of despair. The characters are forced to follow new orders and rules and face an irrational space where having a wit is mandatory to survive. Unfortunately, the characters’ pursuit in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justice awareness is thwarted by the frustrations led by internal irrationality.
In the end of the Song Yeong’s works ‘Blessings to You’, ‘The Teacher and the Crown Prince’, and ‘The Day the President Comes’, desperation is subtly hinted. Characters appear with profound disillusionment more than desperation. The prison, as a manifestation of a despairing Möbius strip, becomes a potent tool for exposing the societal absurdities prevalent in the 1970s.
목차
1. 서론 : 닫힌 공간으로서의 알레고리, 감옥
2. 송영 소설에 나타난 ‘감옥’ 공간의 의미
3. 결론 : 절망적 뫼비우스 띠의 발현 공간으로서의 감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어와 문어의 구분에 대한 일고찰 - 디지털 언어 콘텐츠 구분의 용이함을 위하여
- 1910년대 천안 지역 『조선지지자료』의 지명에 대하여
- Chosŏn Echoes of Tang Poetry : Translating Yi Tal's Hansi into English
- 강원도 절기(節妓)에 대한 기록과 기억 - 영월의 경춘(瓊春)과 춘천의 전계심(全桂心)을 중심으로
- <임경업전>의 비판의식 연구
- 한시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적용과 한계
- 정석교 시의 장소성과 서정적 리얼리즘
-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나타나는 ‘아이다움’에 관한 연구
- 손창섭 문학의 자연주의적 고찰 - 장편소설 <길>을 중심으로
- 김기택 시의 동물 재현과 윤리적 지향
- 송영 소설에 나타난 감옥의 기능과 의미
- 엄흥섭 소설에 나타난 젠더 감성과 그 역학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리포트 분석을 통한 ‘인용하기’의 실상 고찰
- ‘느릐다’, ‘늦다’, ‘더듸다’의 의미 변화 연구
- AR(증강현실)을 활용한 고전소설 콘텐츠 개발 연구 - <심청전>을 중심으로
- 4·19와 쓰기의 존재론 - 1960년대 최인훈·이청준 장편소설의 ‘서술 시점’을 중심으로
- 웹소설 산업화에 대응하는 웹소설 교육과 학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