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葛驛雜詠>의 성격과 그 의의

이용수 39

영문명
The Nature of “Kal-yŏk Chap-yŏng” and its Significance : Focusing on the writing principle and method of compositio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장진엽(Jin-Youp Ja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77輯, 345~38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葛驛雜詠>은 三淵 金昌翕(1653~1722)의 평생 詩法이 온축된 작품으로, 삼연 문학 및 18세기 한시 문학의 변화상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갈역잡영>의 핵심적인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작품의 창작 원리 및 이와 관련된 구성 방식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갈역잡영>은 다양한 제재를 자유자재하게 다루고 있는 작품이지만, 그것을 관류하는 일정한 창작 원리를 보유하고 있다. 본고는 그것을 ‘格物窮理’ 또는 ‘格物致知’로 파악하였다. <갈역잡영>의 창작 원리, 즉 문학적 행위로서의 ‘격물치지’는 기본적으로 성리학의 격물치지 개념을 바탕으로 하되, ‘天機論’으로 표현되는 김창흡의 문학론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지닌다. 즉, ‘天機 속에 체현된 天理를 발견하는 행위’, 또는 ‘사물을 관찰하여 세상의 理致를 발견하고 그 是非와 眞僞에 대해 사유하는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창작 원리에 따라 전체 작품은 ‘인식의 대상인 사물―자연사와 인간사―에 대한 격물치지의 과정 또는 결과의 표현’, 그리고 그러한 사유를 가능하게 한 전제로서의 ‘인식 주체의 형상화’라는 두 유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전자는 격물치지의 직접적인 결과이며 후자는 ‘주체의 천기’를 담지한, 격물치지를 실천할 수 있는 ‘진실한 시적 주체’를 제시한 것이다. 이어서 본문에서는 각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의 창작 양상을 검토하였다. 인식 주체의 형상화에 해당하는 작품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창작되었다. 하나는 진실한 자아의 형상을 묘사한 시로서, ‘조화와 합일’을 이룬 이상적 자아 형상을 부각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시적 자아의 직접 발화를 통한 회고와 성찰이다. 삶의 회고는 진실한 자아 확립의 일환이며, 반성적 태도 또한 인식 주체의 진실함을 추구하는 태도이다. 그 외 개인적 정감을 노래한 편들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주체의 진실한 마음을 표현한 시들이다. 이러한 인식 주체의 형상화는 주체의 천기를 드러내는 방식으로서 <갈역잡영> 속 발화에 신뢰감과 무게를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인식/格致의 과정 및 결과가 담긴 작품들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卑近한 사물의 관찰을 통해 이치를 탐구하는 시, 둘째는 인간의 역사와 천지 운행의 원리를 논한 시, 셋째는 인간사의 제반 문제에 대한 시비와 포폄을 수행한 시이다. 두 번째 유형은 특히 소옹 상수학에 바탕을 둔 역학적 세계관과 관련이 깊다. 또, 인간사와 관련하여 氣數論的 역사관에 입각하여 오랑캐의 중원 지배를 이해한 부분이 주목된다. 김창흡의 시 세계 전체는 작가 자신의 사상과 철학, 시론의 미학적 실천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갈역잡영>은 그와 같은 이론과 실천의 결합이 가장 적극적으로, 또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이는 이 작품을 삼연 시학의 정점에 놓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영문 초록

“Kal-yŏk Chap-yŏng (葛驛雜詠)” is a condensed piece of Sam-yŏn Kim Ch’anghŭp’s lifelong poetic practice, and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work of Sam-yŏn’s literature and of the change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This study discusses the writing principle of the work and the method of compos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ore nature of “Kal-yŏk Chap-yŏng.” “Kal-yŏk Chap-yŏng” embraces various poetic materials, but a specific writing principle runs through it. In this article, I will refer to it as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窮理)” or “attaining knowledge through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致知).” The writing principal of “Kal-yŏk Chap-yŏng,” that is, “attaining knowledge through investigation of things,” as a literary deed is fundamentally based on a concept from Neo- Confucianism, but has a concrete implication in relation to Kim Ch’anghŭp’s theory on literature which is represented as “Ch’ŏn-ki (天機, secret of nature)” theory. In other words, this expression refers to “the act of discovering the heavenly principles embodied in Ch’ŏn-ki” or “the act of discovering the reasoning of the world by observing things and thinking about their rightness and wrongness, and their truth and false.” In accordance with this writing principle, the works of “Kal-yŏk Chap-yŏng”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expression of “the process or result of inquiry into the object of perception” and the illustration of “the subject of perception” as the premise that makes such an inquiry possible. The former is a direct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latter presents a “true poetic subject” who can practice the “investigation of things,” embodying the Ch’ŏn-ki of the subject. In the following sections, I examine the aspects of creation of these works within each type. First, the poems that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perceiving subject were created in two ways. One is a poem that describes the image of the true self, manifested in a way that emphasizes the idealized image of the self in harmony and unity. The other is retrospec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e direct utterance of the poetic self. A retrospective look at life is part of establishing a true self, and a reflective attitude seeks the truthfulness of the perceiving subject. This materialization of the perceiving subject is a way of revealing the subject’s Ch’ŏn-ki, which adds credibility and weight to the utterance in “Kal-yŏk Chap-yŏng.” Next, I examine the types of works that show the process and results of perception or “investigation of things.” These work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poems that explore reason through the observation of familiar objects, poems that discuss human history and the principles of the operation of the heavens and earth, and poems that criticize and denounce various problems in human affairs. The second typ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world view of Yi (易) based on Sao Yong’s Image-numerology (象數學),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barbarians’ domination of China was understood in terms of a “fateful” view of human history. Kim Ch’anghŭp’s entire poetic world can be viewed as the aesthetic practice of his own ideas, philosophy, and poetic theory, and “Kal-yŏk Chap-yŏng” is the work in which he most actively and successfully combines his theory and practice. This is another important basis for placing Kal-yŏk Chap-yŏng” at the pinnacle of Sam-yŏn Kim Ch’anghŭp’s poetics.

목차

1. 들어가며
2. <갈역잡영>의 창작 원리와 구성 방식
3. 작품 유형별 창작 양상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진엽(Jin-Youp Jang). (2023).<葛驛雜詠>의 성격과 그 의의. 대동한문학, (), 345-388

MLA

장진엽(Jin-Youp Jang). "<葛驛雜詠>의 성격과 그 의의." 대동한문학, (2023): 345-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